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의 촉촉한 눈빛, 인터넷 화제
팝뉴스
l
2020.08.11
뭔가 하소연을 하는 것 같다. 같이 놀아달라는 뜻일까. 아니면 자신을 입양해달라는
신호
일까. 무엇이든 사람이 뿌리치기 힘들 것 같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후추 속 항암성분 연구로 새 항암 표적 후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또 이 물질이 작용하는 세포에서의
신호
전달경로를 확인했다. 변 교수는 "발굴한
신호
전달경로를 방해하는 물질을 추가로 발굴하면 다양한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신승호·이지수·장지아민 연구원이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혈압·심전도 버튼만 누르면 측정 '뚝딱'…갤워치3 써보니
연합뉴스
l
2020.08.09
측정 버튼을 누르고 워치 베젤에 손가락을 갖다 댔더니 곧 '이 ECG 데이터에서 심방세동의
신호
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알림이 떴다. 혈중 산소 포화도 측정 버튼을 누르자 처음에는 88%가 나와 놀랐는데 워치가 권장하는 대로 다시 심장에 가깝게 손을 갖다 대는 방식으로 자세를 바로잡고 ... ...
'힉스 입자'의 뮤온 직접 붕괴 실험으로 첫 확인...한국CMS팀 큰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붕괴 비율이 낮다. CERN에 따르면 힉스가 뮤온 한 쌍으로 붕괴하는 확률은 5000분의 1이다.
신호
가 적으면 다른 경로로 만들어진 ‘잡음’ 뮤온 쌍이 많아 검출이 어렵다. CMS의 뮤온 검출기 모습이다. CERN 제공 이렇게 어려운 뮤온 쌍 붕괴 과정을 측정하게 된 데에는 한국CMS 연구팀이 큰 활약을 했다. ... ...
후추에서 특정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RUVBL1/2-TTT를 억제하더라도 다른 경로로 다시 해당 기능을 회복할 가능성은 없나. -맞다.
신호
전달체계가 복잡하고, 특히 암세포들 중에는 특이한 형질을 가지고 있는 소수가 있기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변종이 나중에 나올 확률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모든 항암 표적이나 항암제처럼 RUVBL1/2-TTT ... ...
'디스플레이를 안테나로 쓴다' 홍원빈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했다. 이 기술은 2016년 삼성전자 스마트워치에 적용해 무선통신 전파 수신감도와 송신
신호
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해에는 LG전자 스마트폰에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안테나를 넣어 시연하는 등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음도 보였다. 홍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자기학에 무선통신이론과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제이엘케이-닥터넷, 일본 진출 협력관계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가졌다고 4일 밝혔다. 간섬유화스캔은 우측 옆구리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사해 반사
신호
로 간의 탄성도를 측정하는 장비다. 만성 간질환에서 간 섬유화를 조기에 평가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하다. ■마크로젠과 디엔에이링크, 테라젠바이오는 지난달 31일 서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게 꽤 효과가 있다. 바로 ‘빛 치료(light therapy)’다. 빛 치료 역시 감광신경절세포가 뇌에
신호
를 보내 효과가 나타난 결과일 가능성이 크고 그렇다면 이 세포가 민감한 파란빛 영역이 중요할 것이다. 지난 2009년 국제학술지 ‘우울 불안’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실제 파란빛이 같은 조도의 ... ...
"코로나19 완치 후 청력 저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0.08.04
[출처: 서울아산병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회복된 후 청력 저하 등 청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맨체스터 ...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청각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최
신호
에 발표됐다. ... ...
전북대 김기현 교수, 인간 뇌 닮은 '뉴로모픽 소자' 개발
연합뉴스
l
2020.08.03
적용한 기술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로, 내부 이온들이 입력
신호
에 따라 구멍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마치 뇌 신경세포(뉴런)를 연결하는 시냅스와 같이 데이터 저장 효과를 유발한다. 또 이온 분극과 확산 현상을 이용해 전자소자의 하드웨어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