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일반"(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해야하며 그러지 않으면 자신을 ‘이용’했거나 꽃뱀이라고 하는 사고방식이다. 일반적인 관계에서 상대에게 유익한 일을 의도했다고 항상 그것이 상대에게 실제 유익하게 받아들여지지도 않을 뿐더러, 늘 정해진 보상을 받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왠지 여성만은 자신이 공을 들인 만큼 성관계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있거나 집중해서 공부해야 하는데 친구들이 놀러가자고 하는 등 자신이 속한 환경에 일반적으로 얼마나 많은 방해가 있었는지 또는 본인이 평소 얼마나 쉽게 유혹에 빠지는지가 목표 성취와 더 큰 관련을 보였다. GIB 또한 환경에 방해요소가 많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유혹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은 연말에 ‘올해의 인기논문 베스트 100’을 선정한다. 학술적 평가뿐 아니라 언론이나 일반대중의 반응까지 포함해 논문지수를 산정한다. 즉 뉴스 이야기, 블로그 포스트, 트위트, 페이스북 포스트, 구글플러스 포스트, 비디오, 위키피디아 참고문헌 등의 인용횟수를 수치화한다. 따라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풀리면서 treA 유전자가 발현돼 이를 포도당으로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험결과 일반적인 클로스티리디움은 트레할로스가 25밀리몰농도(mM)가 돼야 treA 유전자가 켜졌다. 그런데 RT027 유형의 경우 돌연변이로 TreR의 억제력이 약해져 트레할로스 농도가 500분의 1인 50마이크로몰농도(μM)만 돼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보면 크게 특정 사건이나 행동(나는 매일 5시간 운동한다), 꾸준히 관찰되는 자신의 일반적 특성(나는 성실한 학생), 성격(외향적인), 역할(엄마/아빠, 학생/회사원), 신체적 특성(얼굴이 길쭉한), 소속 집단 (여성/남성, 한국인, 동양인), 능력(손재주가 좋거나 계산 능력이 좋거나), 선호(체식주의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하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로 어긋나는 주장들 자체가 모순이라기보다는 그걸 일반화한 게 오류라는 생각이 든다. 즉 어떤 사람에게는 맞는 얘기지만 어떤 사람은 따라했다가는 큰일이 날 수도 있다. 개인의 게놈에 따라 반응이 다르기 때문이다. GIB 제공 ‘하루 와인 한 잔을 마시는 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다양한 사람들을 널리 아는 정도 (소셜 네트워크의 넓이), 다양한 그룹에 속한 정도 등 일반적으로 좋은 사회성의 척도라고 여겨지는 문항들에있어 자기 자신과 ‘내 주위의 누군가’의 성과를 각각 평가하게 했다. 그랬더니 약 50 ~ 70%의 사람들이 자신보다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더 파티에 자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국가에서는 카페라테를 일반적으로 라테라 부른다. 이탈리아어로 카페라테는 말 그대로 ‘커피와 우유’가 혼합된 음료라는 뜻이다... 카페라테는 카푸치노, 에스프레소와 함께 오늘날 국제적으로 가장 사랑 받는 커피 음료이다. - 로잔느 산토스 & 다르시 리마, ‘커피가 죄가 되지 않는 101가지 ...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18개월까지 추적한 연구에 의하면, 슬픔을 겪고 해소하는 과정이 사람마다 크게 다르며 일반적 형태 외에도 다양한 패턴이 나타난다고 한다(Bonanno et al., 2002). 1) 감정 변화가 크지 않은 패턴 또는 평정심을 잘 유지하는 패턴: 상실 이후 6개월이나 18개월의 슬픔이나 우울이 상실 전과 크게 다르지 않은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목표(mastery goal)라고 하고 후자를 성과 목표(performance goal)라고 부른다(Eccles & Wigfield, 2002). 일반적으로 성과 목표에 비해 숙련 목표를 더 크게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실패를 덜 두려워하는 경향을 보인다. 배워나가는 과정에서 실패는 어쩔 수 없는 자연스러운 일일뿐 아니라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