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d라이브러리
"
둘임
"(으)로 총 2,568건 검색되었습니다.
엘니뇨, 화산재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12
화산폭발로 인한 분진이 엘니뇨의 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 국립대기연구소 카스파 암만 박사팀은 ‘네이처’ 11월 20일자에 투고한 논문에서 성층권에 도달한 화산재가 태양광을 막아 해수온을 변화시킴으로써 엘니뇨가 촉발된다고 밝혔다.엘니뇨는 남아메리카 서해안의 페루한류 속에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12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는 동력 비행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3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인간을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됐고, 상당한 무게를 띄울 수 있는 추진시스템을 갖췄으며, 하늘을 날 때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했다. 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동물체내의 거의 모 ... ...
유전자 하나로 종 분화되는 달팽이
과학동아
l
200311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악수를 하면 한쪽이 어색하기 마련이다. 둘 중 한사람은, 주로 왼손잡이겠지만, 잘 쓰지 않는 손을 내밀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불편쯤은 달팽이의 비극에 비하면 하찮은 투정에 불과하다. 껍질의 나선 방향이 서로 다른 달팽이는 짝짓기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일 ... ...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
과학동아
l
200311
중국의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에 즈음해 우리나라의 유인우주계획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한국의 유인우주계획은 이미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기본계획’에 의해 2015년까지의 일정이 세워져 있다. 현재는 이 기본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이다.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11
2020년 가을, 결혼한 지 일년이 되는 김씨는 업무가 끝난 뒤에도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아있다. 조만간 결혼기념일이라 아내에게 줄 선물을 찾기 위해서다. 무엇을 선물할까 고민하다가 일단 여성 옷을 취급하는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갔다. 모니터 화면에는 ‘겨울을 준비하세요’라는 카피와 함께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11
가을이 깊어지고 찬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한다. 문득 온가족이 둘러앉아 이야기꽃을 피우며 햇밤을 까먹던 시절이 그리워진다. 그럴 때면 가끔 ‘애고머니!’하는 호들갑스러운 비명이 들려오기도 했다. 이로 밤을 깨물어 쪼개보니 밤벌레가 몸통이 잘린채 죽어있는게 아닌가.밤톨 속에서 느긋하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11
사회적으로 따돌림을 당할 때와 실제 신체적인 고통을 느낄 때, 두뇌의 같은 부분이 똑같이 반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UCLA의 연구팀은 컴퓨터 게임으로 실험대상자가 사회적인 따돌림을 느끼도록 한 후 두뇌 영상을 촬영했다.또래집단은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정서적 기반이 되며 활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11
영국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축구스타였던 베컴과 원자론을 창시한 돌턴의 공통점은? 2백년의 시차가 있지만 둘 다 맨체스터의 발전에 기여한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베컴은 축구공 하나로 맨체스터에 엄청난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줬다. 그렇다면 스포츠 스타도 아니고 연예인도 아닌 돌턴은 무엇 ... ...
공생관계도 셈은 철저
과학동아
l
200310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간 공생의 실체가 밝혀졌다. 뿌리혹박테리아는 질소를 고정해 식물이 쓸 수 있는 형태로 바꿔 공급한다. 이에 대한 대가로 식물은 안정된 주거지(뿌리혹)와 산소를 공급한다.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는데는 많은 에너지가 든다. 만일 질소를 덜 만들거나 생산하지 않으 ... ...
오른손잡이는 시계방향 가마 가져
과학동아
l
200310
오른손잡이 중 90% 이상에서 정수리 가마의 소용돌이가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왼손잡이나 양손잡이는 가마의 방향이 반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암연구소 유전학자 아마르 클라 박사는 길을 지나는 사람들의 머리를 보다가 우연히 이런 연관성을 발견했다. 클라 박사는 이런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