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2010년 질병관리본부가 펴낸 연구 보고서 ‘심정지 기초구급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역학지표 산출을 위한 심층분석’에 따르면, 2008~2010년 사이에 발생한 심정지(심장마비) 환자 중 생존해 퇴원한 환자의 비율은 저층보다 고층이 훨씬 낮았다. 1층이 4.7%, 지하 1층이 4.6%였는데, ... ...
- [수학뉴스] 혼자 백 마리의 양을 모는 양치기 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양치기 개가 46마리의 암컷 양들을 몰도록 했다. 그리고 GPS로 개의 움직임을 추적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했다.그 결과, 개는 각각의 양을 보고 움직이는 게 아니라 양들 사이의 간격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개는 양들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 양을 한곳으로 모으고, 이렇게 해서 ...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리고 두 사람이 함께 같은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도록 했다. 그 다음, 녹음된 음원 데이터에 나타나는 리듬의 편차를 분석했다.그 결과, 두 사람의 듀엣 연주에서 6~8분 간격으로 서로의 박자를 따라잡고(catch-up), 맞춰 주는(slow-down)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의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개로 나눠 놓는 것이다.복잡계 연결망 분야는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그 토대가 되는 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진 것이 불과 15년 정도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분야임에 틀림없다. 복잡계 연결망 연구가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수많은 복잡한 문제들의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뼈의 움직임을 데이터화하는 작업이어서 마커를 뼈 가장 가까이에 붙여야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주로 살이 많이 없고 관절의 움직임이 적은 쇄골이나 팔꿈치와 같은 딱딱한 부위에 붙인다.이렇게 의상 준비가 끝나면 촬영할 공간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연구원이 허공에 가상의 ...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현재 영어로 제공되고 있는 이 게임을 우리말로 제작하고 필요한 정보통신 인프라와 빅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승 교수가 참여한 커넥톰 프로젝트는 인간 두뇌에 있는 1000억 개 신경세포(뉴런)의 연결 구조와 활동 원리를 파악해 뇌지도를 완성하는 국제 연구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 ...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람이 각자 자기 주변에서 전자파나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를 공유하면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그 결과를 보고 필요하다면, 전문 측정 장비를 투입하면 된다는 게 고 대표의 주장이다.스마트랩 시리즈에는 앞으로 자외선 측정기, 염도 측정기, pH 측정기, 정전기 측정기 등이 추가될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역학 지도오늘날에도 역학지도는 유용하게 쓰인다. 국제 역학 자료와 사람들의 이동 데이터를 토대로 만든 이 지도는 2009년에 일어났던 인플루엔자 대유행(팬데믹)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줬다. 최근에는 반응형(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전파 시나리오와 방역법, 그리고 그에 ...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종류인 ‘빠른 시뮬레이션 어닐링’과 동일하다. 빠른 시뮬레이션 어닐링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중간중간 건너뛰어가며, 목표물을 발견할 확률이 가장 높은 지점을 찾는 알고리즘이다.레이놀즈 박사는 “배럴 해파리에게는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과 먼 거리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오늘날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글이 전세계에서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빅데이터 시대다. 따라서 이런 글들을 분석하면 특정한 사회 현상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적인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들이 상품에 대해 언급한 글들을 모아서 분석할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