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문화
d라이브러리
"
문화과학
"(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 과학화에 앞장서는 과학기술진흥재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한강고수부지에 과학공원을 만든다는 기발한 발상은 실현될 것인지."첨단분야의 연구소를 하나 짓는 것보다 청소년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소질을 개발하는 일이 더 중요합니다. 2000년대를 눈앞에 둔 새로운 10년의 첫해인 올해를 과학기술진흥재단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습니다."신만교 과학기 ... ...
경제교류가 가져오는 것 Business Leads The Way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경제활동의 분야에서 최신의 혁신적인 것 가운데 하나는 이른바 '스마트 카드'이다. 이 카드들은 기본적으로 컴퓨터화한 물건으로서 크레디트 카드처럼 보이도록 충분히 작게 만들어지거나 또는 다른 편리한 여러가지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이것들은 당신 개인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수록할 수 있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올해의 과학교양도서 출판은 내용상 뚜렷이 질적향상을 이룩하지는 못했지만, 제목이나 편집형식의 변화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을 끌어들이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웃음의 과학' '재미있는 이야기 수학' '생할 속의 물리학' '철학 속의 과학여행' '재미있는물리여행'. 요즘 책방에 가면 쉽게 접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코를 제외하고는 온몸이 긴 털로 덮여 있어 「작은 사자」같은 우리의 삽사리는 이제 멸종의 위기를 맞고 있다.삽사리는 동양권에서는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외모와 성품을 지닌 우리 고유의 토종개로서 조상들의 정감에 밀접히 연루되어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의 일부이다. 최근 서양문 ... ...
청동기 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한국청동」은 합금성분으로 아연이 들어 있고 형식에 있어서도 독특한 옛시대의 수출품이었다.●- 1만3천3백개의 선으로 구성된 거울숭실대학교 부설 한국기독교박물관에는 B. C. 4세기∼B. C. 1세기 때의 청동기시대에 만든 잔무늬 청동거울이 소장되어 있다. 흔히 다뉴세문경(多鈕細文鏡)으로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참석자오영환(과기대 교무 처장·전자전산학부 교수)조수정(자연과학부 4년·생물전공/서울 영파여고 3년졸업)김진혁(기계재료공학부 4년·전자재료전공/경기과학고 3년졸업)전정렬(전자전산학부 4년·회로시스템전공/대전과학고 2년졸업)정종민(전자전산학부 4년·정보통신전공/전남과학고 2년졸 ... ...
뉴미디어 CATV 내년에 등장할듯 내용과 준비상황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난시청해소나 저질오락물 방송으로만 연상되던 유선TV가 각광받는 뉴미디어로 등장했다. 정보사회에 민주화·지방화에 걸맞는 매체로 알려진 유선TV의 국내이용 실태와 문제점은.일반 TV가 방송국에서 전파를 발신하고 가정의 텔레비전 안테나에서 이를 수신하는 것과는 달리 CATV(Cable TV,有線TV)는 ... ...
껌처럼 늘어나는 금속의 마술사 슈퍼플라스틱 금속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풍선처럼 불 수 있는 묘기백출의 합금은 까다로운 항공기와 우주선의 재료로도 유용하다.유리나 플라스틱은 가열하여 서서히 잡아당기면, 끊어지지 않고 원래의 길이보다 수배 혹은 수십배까지 쉽게 늘어난다. 또 놓아도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늘어난 상태를 영원히 유지한다(이를 소성, 즉 플라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는 '한글' 우리는 이 한글을 아름답고 보기좋게 다듬는 작업을 소홀히 해오지 않았던가. 한글학자 한갑수씨는 일찌기 한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전세계 1백71개 국가중에서 고유의 글자를 가진 나라는 56개 나라에 불과하고 1백15개국은 자기나라 문자가 없으니 우리 ... ...
PART3 성교육, 어디까지 다뤄야 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성생활을 자연스럽게 수용하도록 교육해야겠다. 성교육이란 한마디로 인간의 성생활에 관한 바른 지식과 이해를 위한 교육이다. 그러면 유독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성생활이란 무엇인가? 성과 관련된 행위의 차원에서 본다면 인격의 한가지 통합기능이라 할 수 있다. 반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