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d라이브러리
"
바닥
"(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쾌적도가 가장 좋은 최고급 난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도
바닥
복사난방을 선호하는 층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다. 저온 난방은 특히 태양열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공기 쾌적도와 에너지 절감측면에서 이중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그렇다면 에너지자립형 주택에 ... ...
실내공기를 조심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등이다. 특히 신축아파트의 경우 건축물의 밀폐와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내장재와
바닥
소음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카펫 등 건축자재에서 수많은 유해화학물질이 발생한다. 또 건축물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쓰이는 방향제나 목재 보존재, 왁스도 주요 오염 발생원에 속한다.현재까지 조사에 ... ...
2. 지리산 반달가슴곰 반돌이 가출사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반돌이가…, 반돌이가 탈출했습니다!”당장 현장으로 달려갔다. 이럴 수가. 보호시설
바닥
에 밖으로 통할 수 있는 큼지막한 땅굴이 뚫려 있지 않은가. 반돌이는 감시하는 사람이 없을 때 몰래 탈출을 준비했던 것이다.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주인공 앤드류가 20년 동안 간수의 눈을 피해 망치로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각각 서남일본과 동북일본이라고 부른다.그 직후인 1970년대에는 지질학자들이 동해의
바닥
이 해양지각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지구과학의 혁명을 일으킨 판구조론의 열풍에 힘입어 동해가 확장됐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1980년대 초에는 일본열도의 암석에 대해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배낭에 든 컴퓨터와, 사람의 다리가 움직이는 형태를 감지하는 40개의 센서에 있다. 신발
바닥
등에 들어있는 센서들은 근육의 움직임을 포착해 배낭에 든 컴퓨터에 전달하는데, 컴퓨터는 이를 바탕으로 다리가 어디로 가려고 하는지를 계산해낸다. 로봇다리는 컴퓨터의 명령을 받은 유압 모터의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1백70만년 전에야 남해의 벌판 한곳에서 화산이 분출하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 제주도는
바닥
이 펄과 모래로 된 광활한 벌판이었다.첫 분출 시기와 당시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이유는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 제주도 해수면 하부 1백20m 아래로는 모래와 펄로 구성된 퇴적층이 나타난다. 이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열판이 있는 밑부분만 가열되는데 반해 통가열식 밥솥은 솥 전체에 열이 가해진다.
바닥
전체가 골고루 열을 받는 무쇠솥과 비슷한 이치인 셈이다.그렇다면 이렇게 지은 무쇠솥 밥맛이 정말로 다른 밥보다 맛있을까. 연구팀은 솥구조와 밥맛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 시식단 10명을 선발했다. ... ...
청소기 돌리면 먼지 더 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떠다니는 먼지가 많아진다”고 말한다. 요리나 난방기구, 흡연 등에 의해 먼지가 발생해
바닥
이나 가구 위에 쌓여 있다가 집안일을 하는 동안 다시 떠오른다는 설명이다.가정에서 떠다니는 먼지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과학자들은 환기를 자주 해 실내 공기를 바꿔주는 것을 최선의 방법으로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등, 심지어는 가슴과 목에도 달라붙는다. 우리나라 거머리와 다른 점이 있다면 정글
바닥
에 살며 움직이는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언제 몸에 붙어서 피를 빨았는지도 느끼지 못할 정도다.거머리에 온정신이 팔려있을 무렵, ‘대왕노래기’ 한 마리가 나무 아랫부분에서 휴식을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캄브리아기 중기부터 석탄기 초기까지 살았던 동물로 군체를 이루며, 바다의
바닥
에 고착하거나 떠다니면서 생활했다 몸의 단단한 부분은 새우나 게 껍질 성분과 같은 키틴질로 돼 있었다고생대 후기 석탄기와 페름기에 따뜻한 얕은 바다에서 크게 번성한 원생동물 푸줄리나라고도 한다뜨거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