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d라이브러리
"
언어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규교과목시대 맞은 학교컴퓨터교육 컴퓨터, 담당교사 모두 절대 부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각 학교별 교육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고 천편일률적으로 베이직(BASIC) 등 프로그램
언어
교육에 편중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에 외부강사로서는 항상 수강인원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는 처지여서 흥미위주의 오락게임 프로그램등에 치중하는 경향도 없지 않다.일선 학교의 편법적인 ... ...
세계각국의 컴퓨터 연구「컨소시엄」 90년대에 승부를 건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데이터를 병렬처리하고 기존의 대형컴퓨터에 비해 5백배의 처리능력을 발휘하여 인간의
언어
를 이해, 추론작용도 겸할 수 있다고 한다.또한 이와 같은 차세대컴퓨터는 문자뿐만 아니라 그래픽(도형) 영상 음성까지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복합적이 시스템으로 발전해갈 것으로 보인다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맞는다고 해서 물리학과에 지원하면 입학한 후 곧 흥미를 잃게 되요.흔히 자연과학의
언어
는 수학이고, 자연과학의 기초는 물리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그렇다고 물리 수학 잘하는 학생이면 이과계통의 모든 학과에 적성이 있다는 말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그 두 과목을 잘 못한다고 해서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⑥음소문자 등 6단계로 발전돼 왔는데 한글은 처음부터 음소문자로 만들어져 선진국의
언어
학자들도 놀라고 있는 것이다. 음소란 더이상 나눌수 없는 최소한의 음운단위(자음 또는 모음)를 말한다.바로 이러한 우수한 한글이 만들어진지도 5백50년이 지난 오늘날 한글을 보기좋게 갈고 다듬어 놓지 ... ...
음성인식전화기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전화기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성인식의 원리를 이용한 것.
언어
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언어
를 사용할 수 있으며 50개까지 이름을 기억할 수 있다.금성통신은 이 제품을 금년말까지 상품화해 날로 고도화 다양화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계획이다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한글날을 앞두고 열리는 한국인지과학회와 한국정보과학회 공동주최의 '사람과 기계와
언어
;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란 긴 이름의 학술대외로 구체화되고 있다.한글인식에 관한 연구는 맹인들에게도 책과 신문을 읽어 들여주는 컴퓨터시스템을 실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러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은 전산화된 한국어사전이다.
언어
이해시스템을 위한 사전은 사람을 위한 사전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 구성 및 내용도 달라야한다. 이러한 사전의 편찬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방대한 작업으로서 관련국어학자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인식이다. 조음결합의 과정 구문 의미 등을 표현하기 위한 지식 표현법과 음향
언어
지식을 결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발성자에 의하여 어휘와 구문이 변하여도 이에 적응할 수 있는 인식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네째 주위 환경의 변화(잡음)에 적응할 수 있는 인식 시스템의 구현이다.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활용으로 나눌수 있겠는데 컴퓨터 리터러시 교육은 현재까지는 대부분 프로그래밍(BASIC
언어
등을 가르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추세는 프로그래밍을 컴퓨터리터 러시코스의 주요 부분에서 제외시키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대부분 선진국의 학교에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를 ... ...
발암물질「알라」가 일으킨 파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시달린 것은 그 좋은 본보기다. 자몽을 고발한 ‘시민의 모임’도 찬사와 아울러 극심한
언어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농약과 같은 화학물질의 분석이 이렇게 어렵다면, 더 까다로운 미생물의 분석은 어디서 해야하나?”고 걱정한 한 식품위생학자는 전문적인 ‘식품법정’의 개원이 시급하다고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