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가 선정한 이달의 책 - 쉡게 줄 수 있으면 난제가 아니지!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적지 않게 읽어봤지만, 서술하는 내용이 결코 쉽지는 않다. 하지만 양자역학이 양자장 이론을 거쳐색역학으로 나아가는 흐름이 속도감 있게 잘 요약돼 있다는 사실은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결정적으로 안타까운 부분이 있었다. 질량간극 가설이 등장하는 부분이 마지막에 나오는데, 아름다울 정도로 ... ...
- [화보] 무한 공간을 창조하다 쿠사마 야요이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아무리 큰 수가 있어도 1을 더하면 더 큰 수가 또 생기듯, 허상이 반사에 반사를 반복해 이론적으로는 무한개가 된다. 한 개, 두 개, 그리고 무한개누구나 어릴 때 한 번쯤 가지고 노는 만화경은 예쁜 구슬들이 거울에 반사되어 더 아름다운 무늬를 만든다. 작가의 ‘무한 거울방’ 작품 안으로 ... ...
- 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발명은 획기적이었다. 증기기관은 열효율이 10% 정도였던 반면, 디젤엔진은 열효율을 이론적으로 75%까지 올릴 수 있었다. 그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제 기계로 구현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려서 디젤은 1897년이 돼서야 실제 디젤엔진을 개발했다.100년이 지난 지금도 디젤엔진은 트럭이나 선박,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보여 줄 수 있는 수단이므로 유용하다. 슈뢰딩거의 고양이, 암흑에너지, 힉스, 초끈이론 등의 용어를 잘 아는 것처럼 행세한다면 멋있어 보이지 않는가!정상적인 발달 과정이니만큼 사춘기의 중2병은 대체로 무해하다. 오히려 그 분야에 대한 관심을 유지한다면 훗날 취미로 삼거나 전공으로 ...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큰 별이 태어났고, 차가워진 지금은 작은 별이 많이 태어난다는 것이다. 성 교수는 “이 이론 외에 우주 초기에 작은 별도 함께 태어났지만 큰 별들이 먼저 초신성으로 폭발하면서 작은 별 표면을 덮어 버렸다는 가설도 있다”고 설명했다.짧은 삶을 살았던 최초의 별들은 암흑시대를 끝내고 우주를 ...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가동할 수 있다.원자로 물리에는 이론, 실험, 전산 시뮬레이션 등 세 영역이 있다. 이론은 1940년대 원자로를 처음 만든 페르미를 필두로 하여 원자로 개발 초기인 1960년대까지 많은 물리학자 등이 기틀을 잘 다져 놓았다. 실험 역시 미국, 러시아 등이 수십 년 전에 수백 개의 실험용 원자로를 이용해 ... ...
- “이젠 이사할 때 과학동아부터 챙깁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과학동아로 만들었습니다.”과학교사인 강 교감에게 과학동아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론-체험-창의성 3박자’를 갖춘 융합형교과서 역할을 했다. 그는 교안을 짤 때 자신이 보관하고 있는 과학동아를 총동원한다. 예를 들어 풍선 실험의 교안 만든다면, 과거에 나간 풍선 실험 기사와 최근에 나온 ...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행사와 연극의 밤, 음악의 밤 등의 공연이다.특히 올해 음악의 밤에서는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인 미국 프린스턴대 드미트리 티모체코 교수가 작곡한 곡을 암스테르담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현악 4중주로 연주했다. 수학적인 규칙에 따라 음악을 작곡했을 때와, 수학적인 규칙 없이 무질서하게 ... ...
- 큐브에서 움직이는 건물까지, 네덜란드 건축에는 OO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메르세데스 벤츠사의 로고와 비슷한 ‘트레포일 매듭’ 형태에서 해답을 찾았다.매듭이론은 매듭의 형태와 특징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트레포일 매듭은 끈을 한 번 묶은 뒤 양 끝을 이어붙일 때 나타나는 가장 단순한 매듭 형태 중 하나다. 벤 판 베르컬은 이같은 트레포일 구조를 세 개의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그런데 탈출할 수 없는 미로라는 걸 미리 알 수는 없을까? ‘조르당 곡선 정리’란 수학 이론에 주목해 보자. 먼저, 원을 하나 그려보자. 원은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이다. 이렇게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을 ‘닫힌 곡선’이라고 부른다. 이제 도형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임의의 두 점을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