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아니라 결국 가장 무서운 질병 중 하나였던 천연두를 종결시켰다. 필자는 이 바이러스가
인류
를 암의 고통에서도 벗어나게 해 줄 도구라고 생각하고 있다. 백시니아 바이러스는 숙주의 증식 속도에 맞춰 자란다.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암세포에 사는 바이러스가 더 빨리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배나 더 민감한 피부, 그리고 키보드 대신 입력장치로 활용하는 피부까지. 지금 피부는 신
인류
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진화하고 있다. 나노과학과 재료공학을 만난 피부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살펴보자.의사가 환자의 혈관에 주사바늘을 꽂고 문신 염료를 집어넣는다. 특이하게도 이 염료는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면 시료는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그 지역의 사람들에 대해서는 모를 수밖에 없어요.
인류
학을 연구하는 바람직한 자세는 아니지요.”올해 60세가 된 칸 교수는 최근 다시 한번 ‘옆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언어와 뇌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다. 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언어의 기원을 밝히겠다는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땅에 사는 생물들이 610기가톤을 저장하는 것에 비하면 정말 어마어마하지? 또 매년
인류
가 만들어 낸 이산화탄소의 20~30%도 바닷물이 흡수하고 있어. 바다가 이산화탄소의 자연 저장고인 셈이야. 그래서 넘치는 이산화탄소를 바다에 더 많이 녹여서 가두자는 과학자도 있어.식물플랑크톤으로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혀를 내 두른 사람들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분명히 ‘달린’ 건 아닙니다.지금까지
인류
가 만들어낸 기계 중 달릴 수 있는 건 인간형 로봇, 즉 두발 로봇뿐입니다. 우리나라에선 KAIST 오준호 교수팀이 만든 휴보가 유일합니다. 일본에선 혼다자동차가 만든 아시모, 도요다자동차가 만든 파트너가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박사는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이 활발한 미래에 도착했다.
인류
는 이미 태양계를 떠나 새로운 행성에 살고 있었다. 아인슈타인 박사가 도착한 타임머신 터미널에서는 웜홀과 블랙홀 등을 이용해 우주 곳곳으로 빠르게 여행할 수 있으며 미래와 과거도 여행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 박사는 이곳을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오르가슴을 느낄 때 대뇌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서라면 성행위 도중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이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 있을까. 한때 심리학이 가장 관심 없어 하는 주제가 사랑과 행복이었던 것처럼, 과학은
인류
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에 너무 무관심했는지 모른다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측정한 뒤, 유럽과 아시아 북부 등 다른 지역 호모 에렉투스 화석과 비교해 그 결과를 ‘
인류
진화저널’ 10월호에 실었다.호모 에렉투스는 탄생 직후 아프리카를 벗어나 유라시아 대륙 서쪽과 동쪽까지 이동해 퍼져 살았다. 대표적인 화석이 대륙의 남쪽인 인도네시아 자바섬과 북쪽인 중국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갈라져 나온 이후로도 10만 년 이상을 야생에서 살았다는 뜻이다. 이런 개가 어떻게
인류
의 친구가 됐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가장 가깝고 친숙하지만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를 통해 동물행동학에 입문해 보자. ‘네이처’ 미국편집자 출신의 과학저술가 스티븐 부디안스키의 ‘개에 대하여’는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지만 다공성 막을 통한 기체 확산 속도도 여전히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인류
는 다공성 막을 통한 확산을 역사적으로 어디에 처음 응용했을까? 제 2차 세계 대전 중에 원자 폭탄을 만들기 위해 방사성 동위 원소 235U가 풍부한 우라늄이 필요했다. 천연 우라늄에는 235U가 단 0.7% 만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