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1개 있다고 하자. 하얀 바둑알을 찾으려면 평균적으로 50번은 찾아야 한다. 이를 좀 더 일반화하면 N개의 정보 중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선 번 탐색해야 한다. 그런데 양자역학을 이용한 그로버의 양자 알고리듬에 따르면 훨씬 적은 번의 검색만 하면 된다. 100만 개의 바둑알 중 하나를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투와 관련된 단어의 글자 수를 셀 때는 달랐다. 일반인에게서는 전방대상피질의 활성이 증가한 반면, PTSD 환자에게서는 변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토대로 전방대상피질에 생긴 문제가 편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상적으로 ... ...
- 우리도 복돼지처럼 웃어보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을 낳고 결국 번데기까지 됐다.➌ 복면가왕바이오공학상(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일반부전진현(을지대) 투과전자현미경어, 이 가수는 누구지? 가수 이름이 음…, 정자왕이라고? 그도 그럴 것이 자라의 정소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정자 꼬리에 나타나는 ‘9+2 미세소관 배열’이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있습니다. 안에는 풍선처럼 공기가 들어 있고요. 이 로봇은 피부로 압력을 느낍니다. 일반적인 로봇들은 힘의 세기를 잘 조절하지 못해서 컵을 깨트리거나, 악수하려는 사람의 손을 으스러뜨리려고 하죠. 하지만 이 로봇은 피부로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세다고 측정되면 스스로 힘을 줄일 줄 ... ...
- 갱도에서 피어난 귀한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아름다움을 판단하는 기준은 뭘까. 일반적인 예술작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색상과 광택, 투명도, 색상 대비 등이다. 여기에 광물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결정의 완벽성 정도가 더해진다. 하지만 사람이 의도를 갖고 만드는 예술작품과 달리, 자연이 만드는 광물은 모든 조건을 갖춘 ‘걸작’을 ...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여름철에 둥지를 틀고 번식을 해요.하지만 이런 펭귄들은 특별보호대상이어서 일반인들이 직접 잡거나 만지면 안 된답니다. 그러나 멀리서 사진기나 휴대전화로 동물을 배경으로 셀카를 찍을 순 있어요.앞으로도 친구들이 오늘처럼 남극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네요.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조합됐기 때문에 사방에서 힘이 가해져도 건물이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거든요. 일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은 규모 5의 지진에는 끄덕없이 버티지요. 피해는 유리창이 깨지는 정도예요. 규모 6의 지진에도 건물에 금이 가는 정도로 그치지요.이보다 더 강한 지진을 버티기 이해서는 ‘내진설계’를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일명 ‘스토리 타블로’를 개발 중이다. 스토리헬퍼는 전문 작가를 위한 SW기 때문에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류 소장은 “2017년 서비스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런 SW가 작가의 문턱을 낮춰 다양한 작품이 쏟아져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산소량은 절망적이다. 시도 때도 없이 화성 지표면을 휩쓰는 먼지 폭풍이 화성의 일반적인 날씨다. 게다가 화성 대기에는 수증기가 거의 없어 모래 폭풍이 지구보다 오래 지속된다. 즉 우주복 없이는 한 발자국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주거모듈 안에 여분의 우주복이 있지만, 다른 대원의 것으로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거제육종센터에서 개발한 길이 85.5cm, 무게 9.5kg에 달하는 거대한 넙치들이 누워 있었다. 일반 넙치는 몸 길이 67.8cm에, 무게는 그 절반도 안 되는 4.5kg 정도다. “머리 안에 전자칩을 심어서 가계도를 일일이 관리했습니다. 우량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유전자 표지도 이용했고요.”인간의 먹이 활동으로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