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좋아! 이제 나도 저 아래 바닷속 광물을 캐기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어!아, 그런데 해저 열수분출공 주변 온도가 300℃가 넘는다는데….직접 내려가기엔 너 ... 해저 광산을 찾아라!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Part 3. 해저 광구 탐사,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런데 사람의 눈이 하지 못하는 게 있답니다. 바로‘확대 기능’이지요. 그래서 저 멀리 떠 있는 달을 좀 더 자세히 보고 싶거나,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물체를 보고 싶을 때 현미경과 망원경이 필요해요. 이것들은 모두 ‘렌즈’를 이용하는 장치랍니다.현미경은 크게 ‘대물렌즈’와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살란 교수가 든 예시는 오히려 자신의 주장을 약화시킨다”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사라 가보트 교수는 “살란 교수는 우리의 논문을 주의 깊게 읽지 않은 것 같다”고 비판했다.문제적 동물의 분류가 중요한 이유이들은 왜 이토록 툴리 괴물의 정체를 밝히는 데 힘을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나왔다. 그때부터는 시에서도 움직이게 되었다.나는 공사가 끝나기만을 기다렸다. 저 둑이 완성되면, 나는 그녀에게 말할 것이다. 거절 당했을 때 휘몰아칠 비를 견뎌 내려면 둑이 완성될 때까지는 기다려야 했다. 그날이 오면, 그냥 담백하게, 그렇지만 존경과 존중의 태도를 최대한 담아 말할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눈이 나왔을 확률을 구해야 합니다. 왕자는 답을 구하기 위해 조금 더 간단한 실험을 먼저 생각해 보기로 했습니다. 1단계 반드시 진짜 왕자가 깨어나는 실험일요일 밤에 진짜 왕자가 잠든 사이 복제 전문가가 진짜 왕자를 똑같이 복제해 가짜 왕자를 만든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주사위를 던져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 있다. 비트의 수가 n배로 늘어나면 0과 1로 저장하는 2진법보다 2n배 만큼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전력은 기존의 10%대로 낮췄다. 특이한 이온결정 구조 덕분이다. 장 교수는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며 영상 하나를 보여줬다. 영상 속에는 팔면체의 화학물질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었고, 그 ...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한국 종합 1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대회에는 여학생 한 명이 반드시 참가합니다. 특혜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저는 수학을 좋아하는 여학생이 많지 않으니 대회 참여를 장려하면서 기회를 많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학생 스스로도 대회에 나가는 학생이 적다 보니 도전도 해보기 전에 겁먹고 위축되는 경우가 있어요.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여러분의 재산을 빼앗을 생각이 없었습니다. 저는 상금으로 준비한 100억을 기부합니다. 저와 뜻을 함께 할 분은 단 돈 1000원이라도 기부해 주세요! 또 알면 이기고 모르면 지는 비이행성 주사위를 직접 만들어 보세요! 아직 누구도 발견하지 못한 수학의 독특한 성질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나누면서 저도 저렇게 예술작품을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많은 분들이 저처럼 생각할거라고 믿고 예술가 분들에게 도전과제를 내달라고 부탁했어요. 예술가들은 미술을 하나도 몰라도 쉽게 π예술에 도전해 볼 수 있는 도전과제를 내주셨어요. π-데이에 이 도전과제를 해보는 건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습니다.ISAS의 연구 주제는 엔지니어링부터 은하까지 굉장히 다양한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금성탐사위성 ‘아카쓰키(새벽이라는 뜻)’가 가장 인상 깊습니다. 아카쓰키는 포기를 모르는 위성입니다. 첫 번째 시도에서 궤도 진입에 실패했는데, 무려 5년을 기다려 재도전에 성공했거든요. 최근 금성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