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성
지식
두뇌
지적
지혜
교양
d라이브러리
"
지능
"(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어 배우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어떻게 언어를 배울 수 있는지 실험했다.이번 실험은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아이보보다
지능
이 2배 더 뛰어난 아이보에게 최첨단 회화시스템을 적용해 실시했다. 연구팀이 빨간 공을 들고 아이보에게 무엇인지 물으면서 ‘공’이라는 단어를 반복해 말하면 아이보는 빨간 공의 영상을 저장해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speech pathology)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함께 진행되고 있다. 또 뇌 연구의 응용은 인공
지능
이나 로봇 개발에 기여하게 되므로 전자∙컴퓨터 공학등 다양한 이공학 분야에서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모두들 21세기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또 하나의 프론티어인 인간 뇌의 정복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고 해도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통신장치, 어떤 일에 대처할 때 탐사선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 인공
지능
소프트웨어(자동운행시스템) 등이 딥스페이스 탐사선에 사용됐다.소행성 탐사하며 신기술 테스트딥스페이스 1호에 적용된 신기술을 테스트하는 작업은 1999년 7월 29일 소행성 브레일에 접근하면서 절정에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창조할 수 있는 존재다.그렇다면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된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공
지능
을 만들어낸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우리는 과연 로봇을 하나의 인격을 가진 존재로 인정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애초에 그런 로봇의 생산을 인간 복제와 마찬가지로 금지해야 할 것인가. 이는 ... ...
문어는 다리에
지능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동할지와 같은 단순한 명령을 보낸다고 밝혔다. 단순한 명령을 받은 후 다리에 있는
지능
이 알아서 움직임을 조절하기 때문에 뇌의 계속적인 통제는 필요없다 ... ...
지능
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 있다면 각종 취업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는 하대현 교수가“
지능
검사가
지능
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교육수단이 될 수 있다”고 말한것과도 상통한다.창의성 검사의 사례1. 한번에 두마리를 구울 수 있는 프라이팬이 1개 있다. 생선 한면을 굽는데 2분이 소요된다. 생선 세마리의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주인이 돌아올 때까지 청소를 마쳐놓고 기다린다. 미래에는 우리가 시키지 않아도 인공
지능
을 갖고 있는 청소부 로봇이 집안을 깨끗하게 치워놓고 있을 것이다.외국에서 개발된 청소로봇은 아직 값이 비쌀 뿐 아니라 문턱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쓰기 어렵다. 걸레질도 할 수 없어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색출하려는 시도가 미 동부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나중에 XYY염색체를 가진 사람들이
지능
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은 있으나 비정상적인 폭력성향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XYY염색체를 가진 사람들이 더 폭력적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만약 폭력과 ... ...
타고난
지능
만들어지는
지능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능
의 비중과 역할은 우리가 획득하는 지식의 양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한 사회가
지능
과 관련해 강조하고 부각시키고자 하는 가치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책은 성급한 결론을 배제한다. 각 분야 석학들의 다양한 논쟁을 있는 그대로 제시함으로써 모든 판단과 결론을 독자들에게 ... ...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렇게 되면 인간은 새로운 감각기관과 운동능력을 지니게 돼 앞으로 현재의 인간
지능
을 능가하는 기계가 출현해도 인간이 여전히 지배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워릭 교수의 이런 생각은 기존 과학계로부터 “지나친 기대와 공포를 유발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심지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