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티맥스데이터에서 국산 DBMS인 ‘티베로’를 출시해 국내외에서 널리 쓰고 있어요.
현재
어떤 일을 맡고 있나요?저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기종 사이의 동기화를 지원하는 SW 제품을 담당하고 있어요. 데이터란 기업에게 아주 중요한 자산이거든요. 그래서 안정적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 ...
[화보] 지금 이곳은 한겨울, 남극풍경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월 8일
현재
이곳은 영하 35도입니다. 3개월째 해가 뜨지 않는 극야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서울에서 1만2740km 떨어진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제6차 장보고과학기QD지 월동연구대’로 활동 중인 이재진 생물대원이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남극 소식을 전해 왔다. 무더위가 계속되는 한국과 달리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연구를 계속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올해 가을 새로운 제자를 맞는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턴 연구원인 심유경 씨다. 그는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독성에 관심이 많다”며 “UST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한 뒤 이와 관련한 연구를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UST는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1년 동안 모기 개체수와 생태계 변화를 살펴 볼 것”이라고 말했다. 타깃 말라리아는
현재
말리와 우간다에서도 GM 모기를 방사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 타깃 말라리아의 GM 모기 전략 타깃 말라리아는 아프리카에서 말리리아를 매개하는 모기(Anopheles gambiae)를 퇴치하기 위해 ‘유전자 드라이브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전류의 공급 방식을 두고 치열한 논쟁이 오갔다. 8월 개봉하는 영화 ‘커런트 워(Current War)’는 새롭게 나온 교류 방 ... 달리 직류 방식으로도 전력 손실 없이 먼 곳에 전기를 배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고압직류송전 방식은 중국 등에서 일부 사용되고 있다 ... ...
[과학뉴스]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광학적인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단백질 구조 등을 확인하는 데 쓸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해상도가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 그쳐 이보다 작은 개별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해상도를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수 있습니다. 이를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데이터는 석유와 비슷
현재
딥러닝을 비롯한 학습 기반의 각종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딥러닝이라는 컴퓨터 관련 전문용어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나라도 지구상에 또 없을 겁니다. 201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감정해 범인이 현장에 있었으며 피해자와 함께 있었음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이는
현재
과학수사 분야에서 미세증거물이라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검시 분야에서도 미세증거물은 두말할 필요 없이 매우 중요하다. 미세증거물은 상호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다. 올해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관련 프로젝트를 담당하던 정윤 과학기술부 국장(후일 과학기술부 차관을 역임했고,
현재
는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KSA) 교장이다)이 소신을 갖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끝끝내 설득시키지 않았더라면 KSR-Ⅲ를 시작할 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는 훗날 나로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거예요. 이 정도 깊이의 지하 화강암 지대에서는 160~180℃ 정도의 열을 얻을 수 있거든요.
현재
프랑스 솔츠, 독일 란다우, 스위스 바젤 등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고 있답니다. 우리나라 포항에서도 이런 EGS를 이용하는 지열발전소를 시험 운행 중이었어요. 포항 지역의 지하 3~5km 깊이에 뜨거운 화강암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