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물리학상 받은 '위상물질' 특성 밝혔다...양자컴퓨터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개발됐다. 이론 수준에 머물렀던 위상물질을 양자컴퓨터나 양자통신의 소자로 활용할
길
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서준호 양자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과 김건우 독일 쾰른대 연구위원팀이 머리카락보다 1000분의 1 가는 나노역학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분석해 위상물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콜라겐을 추출해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는 단순 반복 작업에 매달렸다. 그리고 마침내
길
이 2㎝인 뼛조각 하나가 사람의 것으로 밝혀졌다. 브라운은 천신만고 끝에 찾아낸 사람 뼛조각을 독일 라이프치히에 있는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로 보냈다. 이곳에서 슬론 박사는 자신이 개발한 ... ...
국내 인용색인(KCI) 등재 학술지 '스코퍼스' 등재 간편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한국연구재단. 연합뉴스 제공 한국연구재단이 제공하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 학술지가 세계 최대 학술지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DB)인 ‘스코퍼스’에 보다 ... 지역적 특수성이 중요한 인문사회 분야 연구자들이 세계적 학자로 도약할 발판이 되
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국내 최대 ‘지하도시’ 짓는데 지하수가 걸림돌?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단군 이래 최대 지하 시설물로 불리는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이다.
길
이 630m, 폭 63m, 깊이 52m의 이 거대 지하시설을 짓는 데만 1조7000억 원 이상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이 사업의 가장 걸림돌을 지하수의 ‘치수’로 보고 있다. 이달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는 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갑작스런 상실을 겪는 이들에게
2019.10.19
감정이 마음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지만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해서 이들을 해소할
길
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을 표현하는 글쓰기가 상실감을 딛고 일어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서던 미시시피대 연구진에 의하면 갑작스러운 상실을 겪고 하루에 15분씩 4일 정도 자신의 감정 상태가 ... ...
“출연연 여성 채용비율 여전히 낮아” 갈
길
먼 여성 과기인 고용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국정감사에서 여야 위원들이 피감기관 국정감사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의 여성 인력 지원과 채용 권장 정책으로 공공 부문 여성인력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출연연구기관의 여성 채용비율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과학기술 ... ...
큐브 퍼즐 푸는 로봇손…오픈AI, '인공지능+로봇' 결합해 개발
연합뉴스
l
2019.10.16
얼마나 멀리 확장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말했다. 다만 이 로봇손 역시 아직 갈
길
이 멀다. 10번 중 8번은 퍼즐을 떨어뜨린다고 오픈AI 연구진은 말했다. NYT는 "오픈AI나 이와 비슷한 구글, 대학의 연구진은 이런 기계학습이 지금은 로봇손이 할 수 없는 일에 통달하고 현실 세계의 무작위성에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할로윈 사이언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참여자가 선택한 할로윈 의상과 소품으로 분장해보고 포토존에서 기념사진을 남
길
수 있는 분장놀이 체험 프로그램과 할로윈 타투스티커 체험을 제공한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cent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이 16일 오전 7시부터 KIRD ... ...
[기고]노벨상이 비추는 남루한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
2019.10.15
대학교육을 통해서는 혁신인재를
길
러낼 수는 없다. 일본이 이미 걷고 있는 몰락의
길
을 우리가 곧 걷게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포스텍 물리학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 ... ...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10.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철새들은 수천km나 되는 먼 거리를
길
을 잃지 않고 날아간다. 망막 속에 존재하는 CRY4 단백질이 지구 자기장을 인식해 나침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CRY4 단백질은 청색광에 반응하기 때문에 철새는 낮에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부 철새들은 야간에 이동하기도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