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28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부 혈압약, 기억력 저하 억제 효과"
연합뉴스
l
2021.06.22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느냐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ACE 억제제와 ARB는 혈압
조절
에 핵심 역할을 하는 체내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에 작용한다. 그러나 뇌에는 체내와는 별도의 독자적인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이 있으며 이 시스템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 ...
지구 공학 실험을 멈추다
과학동아
l
2021.06.19
무슨 이유로 연기된 것일까. 지구의 기후시스템에 인위적인 조작을 가해 기후를
조절
하는 연구 분야가 있다. ‘지구공학’이다. 1960년대 미국에서 처음 제안돼 60여 년 동안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돼 왔다. 지구공학 기술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된다. 지구로 들어오는 햇빛을 줄이는 ‘태양 복사 ... ...
‘아이언맨 슈트’ 가고 ‘스파이더맨 슈트’ 온다...웨어러블로봇은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21.06.18
처음 공개했다. 2019년에는 반바지 형태로 만들어 걷거나 달릴 때 와이어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
되면서 힘을 덜어주는 엑소슈트를 선보였다. 엑소슈트 전체 무게는 5kg이다. 시험 결과 엑소슈트를 입고 걸을 때는 대사량을 9.3%, 달릴 때는 대사량을 4%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 엑소슈트를 ... ...
UNIST, 대상에 따라 관찰 방법 바꾸는 나노 광학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1.06.17
파면을
조절
해 15㎚(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분해능으로 편광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
했다. 또 정렬 방향이 다른 단일 분자를 구분해 측정함으로써 기술을 검증했다. 박경덕 교수는 "독립적으로 연구되던 적응광학과 근접장광학을 최초로 접목한 이번 연구로 근접장광학 분야에 적응광학을 ... ...
[과기원은 지금] GIST 원자층 두께 다강성 반데르발스 물질 최초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6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인 NiI2 시료의 원자층 단위 두께
조절
에 따른 물성 변화를 실험적으로 추적해 이 물질에서 다강성이 원자층 수준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손재성·채한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권범진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 ...
‘배 터지게’ 먹어도 배 안 터지는 이유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채널은 물리적 자극을 받으면 전기신호를 발생해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호흡이나 혈액
조절
등에 관여한다. 초파리의 DH44 신경세포에서 두 가지 억제 신호가 일어나는 모식도. 이를 통해 과식을 예방한다. 서성배 KAIST 교수 제공 연구진은 DH44 신경세포가 내장 기관에 신경 가지를 뻗고, 해당 ... ...
"폭염이 당뇨병 환자 사망 위험 18% 높인다"
연합뉴스
l
2021.06.14
혈당 수치가 높아져 쇼크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평소에 혈당
조절
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더운 날 운동하게 되면 탈수가 쉽게 오고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할 위험도 있다. 당뇨병 환자는 폭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탈수를 막기 위해 물을 충분히 마시고 당도가 ... ...
소리로 병 진단하고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공개했다. 말하기는 혀와 턱, 입술, 후두를 세밀하게 조정하는 복잡한 활동이다. 신경
조절
에 이상이 있거나 기관 중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즉각 말투나 목소리가 달라진다. 사고가 느려지면서 빠른 판단과 행동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우울할수록 말하는 속도도 느려지고 대화 과정에서도 ... ...
맞춤형 재배로 채소맛
조절
하는 푸드주크박스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연구중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미디어랩은 식물의 맛이나 색감을 맞춤형으로
조절
하도록 재배 환경을 미세하게 구현하는 ‘푸드 컴퓨터’를 개발중이다. 정 선임연구원은 “맞춤형 식물 재배 레시피 서비스는 물론 식물 생육 상태나 특정 성분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재배 환경에 어떤 ... ...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속도 늦출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치매 발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플렉신-A4를
조절
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뉴로바이올로지’ 5월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