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뉴스
"
호주
"(으)로 총 2,07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인가 싸움인가, 레슬링하는 뱀 포착
2016.10.19
팝뉴스 제공 지난주
호주
퀸즐랜드 데이보로에 있는 한 가게 부엌이었다. 주인인 머레이 패스는 희한한 장면을 보았다. 두 마리의 뱀이 엉겨 붙은 것이다. 꽈배기와 비슷한 모습이었다. 두 마리의 뱀은 도대체 뭘 하고 있는 것일까. 사랑을 확인하고 있을까. 아니면 싸우는 중일까. 현장의 영상은 ... ...
빗자루에 맞은 상어 ‘화제’
2016.10.19
바다의 최강 포식자 중 하나인 백상아리가 빗자루에 얼굴을 맞는 수모(?)를 당했다. 16일
호주
언론들의 주목을 받은 인물은 댄 호이 선장. 그는 지난주 목요일 빅토리아 포트 페어리 인근에서 낚시배를 몰고 있었는데, 거대한 상어가 접근했다고 한다. 길이 5.5미터에 달하는 백상아리는 배 주위를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예상될 뿐 아니라 가뭄에 저항력이 높아져 재배가능지역도 넓어질 것이다. 지난 4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 과거와 현재, 미래’에는 1966년 논문의 저자인 해치와 슬랙도 참석해 했다고 한다. 80대에 접어든 두 사람은 후배들의 발표를 열정적으로 경청하며 그 순간을 마음껏 ... ...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 많게 진화
과학동아
l
2016.10.17
인류가 뇌의 크기보다 혈류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호주
아델레이드대 로저 세이머 교수팀은 초기 인류에 비해 현생인류의 뇌 혈류량이 6배나 많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학회오픈과학저널’ 8월 31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를 포함해 ... ...
800년전 부메랑에 희생된 전사
2016.10.16
부메랑이 사냥 도구뿐 아니라 전쟁 무기로도 사용되었다는 말이 된다. 이 유골은 2년 전
호주
동부 토렐 국립 공원에서 발굴되었다. 인류학자들은 20~30대인 원주민 유골이 1800년대 영국에서 온 군대에 의해 희생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연대가 800년전 까지 이르며 두개골의 ... ...
수영하는 가족을 공격한 악어 ‘포착’
2016.10.14
팝뉴스 제공
호주
언론 ‘더 웨스트 오스트레일리아’가 3일 보도한 스토리.
호주
윈덤에 거주하는 마크 팀스 씨의 가족은 지난 목요일(현지시간) 엘 퀘스트로에 있는 골짜기에서 수영을 하고 있었다. 그들은 악어가 함께 수영하고 있었다는 걸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조짐은 아내가 느꼈다. 아내의 ... ...
악어인가 공룡인가, 역대급 악어 ‘화제’
2016.10.12
속하고, 위 악어는 역대급 공포의 악어로 평가받는다. 전해지기로는 이 악어는 1997년
호주
도시 다윈으로부터 남서방향으로 600마일 떨어져 있는 한 농장에서 농부들에 잡혔다고 한다. 농부들이 총을 이용해 이 악어를 죽인 것은 소와 양 등 가축을 먹어 치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7미터에 이르는 ... ...
새를 통째로 삼키는 뱀 ‘포착’
2016.10.10
팝뉴스 제공 최근 해외 인터넷 포럼 사이트 레딧에 공개되어 주목을 받은 이미지다.
호주
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뱀이 검은 색의 새를 잡은 후 통째로 삼키고 있다. 새는 지붕 위에 앉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새가 잠시 정신을 판 것일까. 넋을 놓았던 것일까. 슬금슬금 다가오는 천적의 존재를 ... ...
3초 만에 근육 탄탄, 비결은?
2016.10.09
그 비결은 자세와 조명 그리고 사진 촬영 각도다. 보는 이들을 깜짝 놀라게 만든 이는
호주
퀸즐랜드에서 피트니스 트레이너이자 모델로 일 하고 있는 나딘 뮬러. 지난 2015년 아이를 출산한 엄마이기도 한 그녀는 ‘비포 - 애프터 사진’으로 화제에 올랐다. 몸에 잠깐 힘을 줬을 뿐인데, 전혀 다른 ... ...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10.08
학설이 있었지만, 이제껏 돌기둥의 목적이 명확히 밝혀진 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호주
애들레이드대 물리학과 게일 히긴바텀 연구팀이 5000년 전에 둥그렇게 세워진 돌기둥은 태양과 달의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돌기둥이 원형으로 줄지어 있는 영국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