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다음"(으)로 총 2,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모의 가혹한 양육이 자녀 비만 부른다2018.07.21
- 아이들에 비해 비만이 될 확률이 높았다. 주 관심사였던 양육 태도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부모가 공격적이고 비판적이며 쉽게 화를 내고 심지어 체벌을 가하는 등의 가혹한 양육 태도를 많이 보인 가정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에 비해 성인이 되었을 때 비만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사실이 아닌지 낱낱히 밝히는 팩트 체크는 그 다음으로 효과적이었다. 해당 정보의 출처가 그리 신뢰할만하지 않다는 식으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도 다소 효과를 보였으나 앞의 둘 보다는 효과가 약했다. GIB 제공 또한 방금 지어낸 거짓말보다 ... ...
- [지구를 위한 과학] WildToon #1 돌고래 추적자들2018.07.11
- 웹툰(WildToon), 스토리콘텐츠(WildStory), 정기강연(WildTalk)으로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C Program과 함께합니다.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의 탐사 내용이 궁금한 친구들은 아래 기사를 확인해 주세요~! ▶ 기사 보러 가기 : https:/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암은 단세포성으로의 회귀 다음으로 흥미로운 내용은 암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다. 암세포는 세포의 성장과 유지, 사멸(죽음)을 조절하는 정교한 시스템이 무너진 결과 제멋대로 행동하는 세포라는 게 기존 관점이다. 이에 따르면 이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즐거움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Zelenski et al., 2013).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외향적이고 행복한 사람과 내향적이고 행복한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친한 친구들을 얼마나 자주 만나는지, 친구들에게 고민 상담을 하는지 여부에서는 외향적인 사람들이 살짝 더 높은 점수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 남는다’, ‘새로운 경험을 해도 열정의 대상은 잘 바뀌지 않는다’ 등의 문항이었다. 다음으로 사람들에게 자신의 평소 취향과 맞는 기사와 그렇지 않은 기사를 읽게 했다. 예컨대 스스로를 이과보다는 문과적 취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문학에 관한 기사 하나와 ‘인터넷의 미래’ 같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뇌의 체감각 피질이 의수의 촉각 또는 통각으로 지각한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제공 다음으로 진짜 피부를 모방한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피부에는 다양한 기계적 감각(촉각, 통각, 온도감각) 수용체가 존재하는데, 전자피부에는 각각 촉각과 통각 수용체 역할을 하는 두 가지 유형의 압전저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아스페르거 증후군의 전형적인 예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것이다(하인이 두고 간 식사를 다음 날 아침까지 손도 대지 않고 밤을 새워가며 연구에 몰두했다!). 아인슈타인 역시 강의가 엉망이었고(학생들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사적인 대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역시 대표적인 증상인 타인과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2018.06.16
- ‘스스로에게 비판적인 완벽주의자(self-critical perfectionist)’라고 한다. 이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Dunkley et al., 2003). 1) 지속적인 자기검열을 한다. 2) 자신의 행동에 가급적 부족하다 느끼고 비판적이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편이다. 3) 그러다보니 심지어 좋은 결과를 내도 만족감을 느끼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사람이 저녁에 커피를 마시면 수면압력이 떨어져 자정을 한참 넘겨서야 잠이 든다. 다음날 일 때문에 억지로 깨면 피로가 덜 풀린 상태이지만 모닝커피를 한잔 마시면 정신이 맑아져 낮에 졸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밤이 되면 카페인이 거의 분해됐고 깨어있는 동안 축적된 아데노신의 작용으로 쉽게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