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열한 왕권다툼, 어제의 동업자가 오늘의 적
과학동아
l
199609
잘못 내려 않아 살림을 차리려다 희생되는 여왕개미도 부지기수다.어쩌다 강대국 틈으로
난
좁은 공간에 여러 여왕개미들이 몰려 들어 제가끔 서둘러 왕국을 세운다. 이런 경쟁이 특별히 심한 개미 사회에서 여러 여왕개미가 함께 나라를 세우는 모습이 가끔 발견된다.새로운 왕국들이 우후죽순처럼 ... ...
전설적인 해커, 아브락사스 방랑기
과학동아
l
199609
될 것이라 생각한다.단지 자기 앞가림만 잘 한다면 무슨 문제가 있을 수 있겠는가.
난
지금 공부하는 학생이니까 공부에만 열중해야 하겠다. 앗, 잠시 편지좀 체크하러 BBS에 들어가 봐야지 ... ...
버클리대학 고생물 박물관
과학동아
l
199609
아시모프 칼럼의 뒤를 이어 이번달부터 새롭게 인터넷 영어 강좌를 시작합니다. 이
난
은 인터넷을 뒤져 흥미 있는 사이트를 찾고도 이를 이해하지 못했던 분들이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공룡에 대한 관심이 요즘처럼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된 이유중에는 영화 ‘쥐라기 ... ...
사람의 발정기가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199609
짝짓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이를 토대로 해서 실렌-툴버그는 우리의 조상이
난
교(亂交)를 하거나 일부다처의 하렘(harem)에서 살 때 배란이 은폐됐으며, 일단 은폐된 배란이 진화되면서부터 일부일처제가 자리를 잡은 것으로 유추했다. 다시 말해서 여자들이 배란 은폐를 진화시킨 목적은, ... ...
백두산 곤충
과학동아
l
199609
부근에 나타나는 수목한계선에 다다르면 거제수나무 군락이 보인다. 성충으로 겨울을
난
공작나비와 쐐기풀나비가 보였다. 수목한계선 밑으론 넓은 숲의 거대한 바다가 끝간데 없이 펼쳐져 있다.이제 백두산 일정은 끝났다. 돌아가는 길에 새로운 국도를 따라 다시 답사를 다녔다. 정말 멋지고도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09
얼마전 울산 정족산 무제치늪에서 희귀식물인 무제치란이 발견됐다는 보도 이후
난
채집꾼에 의해 씨를 말렸다는 사실이 남의 일같지가 않았기 때문이다.관음사에 진을 쳤던 야간채집조가 밤 11시반이 돼서야 돌아왔다. 손에는 나방이 잔뜩 든 채집통을 들고 있었다. 다음날 새벽 정세호연구원은 ... ...
100%에이즈진단법 개발
과학동아
l
199609
에이즈에 걸리지 않았을까 하는 걱정을 많이 한다. 또 병원에서 정상으로 판명받고
난
뒤 안심하고 성적 접촉이나 헌혈을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보다 중요하게는 에이즈 치료제가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기 위해 환자 몸의 바이러스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즉 예방과 치료가 ... ...
3. 맛 좋고 키 큰 콩나물 기르려면
과학동아
l
199608
곳 5℃)는 싹이 트지 않았다. 싹이 트면서 D(어두운 곳 25℃)가 가장 빨리 성장했는데, 잎이
난
후부터는 B(밝은 곳 25℃)의 성장속도가 가장 빨랐다. 그리고 C(밝은 곳 50℃)와 E(어두운 곳 50℃)는 성장을 거의 하지 않았다. 토론연란) 콩나물을 기르는 것이 끝났으니까 이제 각자의 가설을 검토해보자.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08
발견됐으며 '투오 강의 도마뱀'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스테고사우루스와 비슷하나 등에
난
돌기가 작다.민미(Minmi)곡룡. 몸길이 3m. 백악기 초(1억1천9백만-1억1천3백만년 전). 등에 돌기가 많으며 꼬리에는 두줄의 삼각형 돌기가 돋아 있다.사우로펠타(Sauropelta)곡룡. 몸길이 7.6m. 몸무게 2.7t. 백악기 초( ... ...
2. 최적의 온도와 pH는 얼마일까
과학동아
l
199608
37℃이고, 리파아제는 30℃라는 설명을 들었다. 또 37℃와 60℃에서 활성도가 차이가 적게
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유력한 것은 기질의 양이 너무 적었기 때문이라는 선생님의 설명을 들었다.우리는 효소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론적으로 이미 배웠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서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