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03
준 것이다. 왜 농구공에 역회전을 거는 것일까.농구공이 바스켓 뒤의 백보드를 맞는다고
상상
해보자. 이때 슛한 공은 백보드와 각을 이루게 된다. 회전이 걸리지 않은 공은 백보드에 맞는 순간과 백보드에서 다시 튀어나가는 순간에 백보드와 이루는 각이 같다. 그래서 백보드에 맞은 공은 멀리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03
수 있어서, 원한다면 먼지를 스테이크로 바꿀 수도 있다. 드렉슬러는 나노과학이 우리가
상상
할 수 있는 모든 획기적인 장치를 제공해줄 수 있다고 말한다.과연 나노과학은 이 꿈같은 일을 가능하게 해줄까. 아직 이 질문에 대해 많은 과학자들은 “아직은 모른다”고 말한다. 나노과학은 아직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여러곳을 둘러볼 수 있다.달에서 초보자도 맨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곳이 토끼를
상상
할 수 있는 ‘바다’다. 이 지역은 현무암질의 용암 대지로 어두운 색을 띤다. 17세기 초 관측자들은 이 지역이 물로 차있으리라 생각해 바다라고 잘못 이름지었다. 바다는 대부분 커다란 원형이며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03
기초과학을 통해 혁신적인 발전이 이뤄지리라 생각된다. 지금까지 과학의 발전은 우리가
상상
도 못했던 것을 계속해 넘어왔다. 나노과학은 새로운 미래를 여는 과학혁명을 일으킬 수 있으리라 예견된다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03
만나는 꿈을 꾸었을지도 모르겠다.필자는 때때로 고대인이 남긴 삶의 발자취가 현대인의
상상
력에 불을 지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가뭄에 우물 찾아낸 개요즘 해진 후 서쪽하늘에서는 유난히 밝게 빛나는 ‘별’이 있다. 사실은 별이 아니라 금성이다. 우리 조상들은 새벽에 보이는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03
불가능한 세계를 만들어놓고 시험하는 것이죠. 비행사나 전투 분야에서 많이 쓰면서
상상
의 세계에서 현실감을 느끼게 해줍니다. 그래서 기술적인 접근도 가능하죠.성환_ 막대한 정보량 때문에 미래 산업구조가 굉장히 달라질 것 같군요. 그런 의미에서 없어질지도 모를 많은 추억들을 빨리 ... ...
노우드 핸슨의 발견의 유형
과학동아
l
200103
문제를 조명하고 있다.케플러가 언덕 위에서 새벽 해돋이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고
상상
해보자. 그리고 티코 브라헤가 함께 서있다고 하자. 케플러는 태양은 고정돼 있고 대신 지구가 움직인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이 점에 대해서는 톨레미와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이 티코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02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빠른 시간에 유통시킬 수 있는 기술들은 정보의 확산속도를
상상
을 초월할 정도로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소리바다를 만든 양일환·양정환 형제는 “궁극적으로 음악과 관련한 모든 집단에 이익이 되는 사업모델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한다.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02
저장하는 광학 컴퓨터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의 정보처리 속도는 우리의
상상
을 초월할 것이다. 현미경 수준에서 유체흐름 조절이슬방울보다 수천배나 부피가 작은 액체를 다루는 분야인 ‘마이크로유체공학’이 생명공학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자동화된 실험기기나 진단키트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02
독특한 점막을 갖고 있다).따라서 이런 위 속에 세균이 살 수 있다고는 그 누구도 쉽게
상상
하지 못했다. 간혹 위 속에 세균이 있다고 주장하는 의학자들이 없지는 않았지만, 그 증거를 찾을 수는 없었다.그런데 1979년 호주의 의사겸 병리학자인 워렌이 만성위염환자의 위점막에 다수의 나선 모양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