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은 2년 동안 준비한 자신의 야심작을 이 자리에서 드라마틱하게
공개
했다.뉴욕 시에 새로운 빛을 선사하겠다는 에디슨의 호언장담이 어떻게 실현될까 기대하고 있던 사람들은 에디슨의 멘로파크 발명공장과 길거리를 밝힌 53개의 백열전구를 보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발표한다. ‘천문학 지식사전’ 오픈 현직 천문학자들이 집필한 천문 콘텐츠를 웹진에
공개
해 교육자료로 활용하는 프로젝트. 온라인에서 잘못 유통되는 관련 정보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생들이 궁금해하는 태양과 소행성, 혜성으로부터 별의 탄생과 진화, 은하, 우주론에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RSA 암호를 해독하기란 만만치가 않다.도넛암호라 불리는 타원곡선암호타원곡선암호는
공개
열쇠 암호의 일종으로 RSA 암호보다 짧은 열쇠를 사용하면서도 보안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타원곡선암호의 경우 암호화할 글자를 타원곡선에서 이동시켜 암호화하는데 타원곡선의 수식이 복잡해서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확산되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동시에 이렇게 탄생한 작품을 온라인에도
공개
해 많은 사람들이 보고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또한 지난 6월부터 융합카페를 개설해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문화예술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참여해 생산적인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코리아앳홈 플랫폼에서 실행될 KVN 재활용 관측자료의 처리 과정을 시각화한 프로그램이
공개
되고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홈페이지에 세티 코리아 홈페이지 코너가 개설될 예정이다. 본격적인 비상을 앞둔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가 어떤 성과를 거둘지 관심이 쏠린다.▼관련기사를 계속 ... ...
신비한 수 π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위나라의 유휘는 고대 중국 수학을 총정리한 ‘구장산술’을 통해 자신이 밝혀 낸 π값을
공개
했다. 그는 아르키메데스와 같은 방법으로 정192각형이 원에 접해 있는 경우를 계산해 3.141024〈 π〈3.142704라는 것을 구했다. 그 뒤 정3072각형을 이용해 π값이 약 3.1416이라는 것도 밝혔다. 5세기경 송나라의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황 교수는“논문 제출을 준비하고 있어 모든 성과를
공개
하긴 어렵다”면서도“최근 좋은 실험 결과가 관찰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소개했다.연구단의 성과에는 팀워크가 한몫을 하고 있다. 황 교수와 성이 같은 2명의 또 다른 황 씨들이 주인공이다. 연구단의 ... ...
The Limits of Internet?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존재한 시간보다도 훨씬 길다. 어쨌든 위키피디아는 여전히 누구에게나 완전히 무료로
공개
된 저널로 한때 혁명적인 것으로 칭찬받았던 온라인 협동방식의 한 모델로 여전히 남아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키피디아의 문제점이 웹 2.0의 한계를 암시하고 있다. 이상화된 커뮤니티가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높다.● 전세계 2억 5000만 명이 가입한 세계 최대의 커뮤니티 사이트 ‘페이스북’에
공개
된 가위바위보 게임 ‘로샴불’은 상대방이 지금까지 냈던 가위바위보 통계를 미리 볼 수 있다. 게임의 전체 통계를 보면 바위 36%, 가위 34%, 보 31% 순으로 나타났다. 손가락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으로 ... ...
시각 장애인 눈 대신하는 ‘전자 지팡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실제로 이 장비를 이용해 눈가리개를 착용하고 여기저기를 다니는 실험자의 모습을
공개
하기도 했다. 시각 장애인들이 낯선 장소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고 자유롭게 외출할 수 있도록 돕는 길잡이가 되는 셈이다.하라브 박사는 “쇼핑몰이나 박물관을 돌아다니거나 버스 정거장에서 집까지 오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