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굿바이 M16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많은 소총이다. 무엇보다 가볍다. 플라스틱과 항공기용 알루미늄을 사용해 무게가
기존
M14보다 1kg 가량 가벼운 2.98kg이다. 무게만 따지면 최근에 나온 동급 소총에 버금갈 정도로 가볍다. 정확도도 높아졌다. 사격시 발생하는 진동이 총열의 축과 나란히 전달되게 설계해 사수가 총의 흔들림을 최대한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iPSc로 개체를 발생시키면 노화가 빨리 일어나거나 암이 생겨 빨리 죽기 때문입니다. 물론
기존
줄기세포 기술에 비해 획기적이지만, 아직 수많은 문제점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찾아내 해결하려면 반드시 비판적 시각을 유지해야 합니다.”생명과학과 윤리는 뗄 수 없는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휴머노이드 기반의 인공지능 로봇축구대회로 가야 하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기존
중앙제어식 로봇 축구에 대한 연구 논문은 2000년대 초쯤 정점을 찍고 점차 줄어 2010년 이후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기술이 성숙할 대로 성숙한 것이다. 이제는 로봇축구대회에서도 인공지능과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올라섰고, 에어비앤비 서비스를 이용해 생계를 유지하는 개인이 있을 정도다. 이용자도
기존
숙박 업체나 렌터카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주차장 공유 서비스를 내놓은 박태림 이노온 대표는 공유기업 역시 제대로 된 수익 모델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ARNOLD)’가 있다. 민 교수는 “질산라디칼(NO3)과 오산화이질소(N2O5) 등 우리나라에서
기존
에 측정하지 않던 반응중간생성물의 농도를 아놀드로 측정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초미세먼지와 오존이 생기는 과정을 연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민 교수의 연구는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12년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이 이름을 처음 붙인 이정호 레인보우 대표이사는 “
기존
에 있던 로봇 구동 소프트웨어들이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웠다”며 “컴퓨터공학과 출신이 아닌 나 같은 사람도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도록 쉽게 만드느라 포도송이 같은 구성이 됐다”고 말했다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세포가 특정 세포로 변하거나(분화) 다시 돌아오는 과정(탈분화)은 새로운 DNA를 넣거나
기존
DNA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다. 유전정보는 그대로 둔 채 이것을 사용하는 방식이 담긴 프로그램을 교체해 이뤄진다. 이 프로그램이 후성유전학이다. 식물학자들은 식물의 유연한 후성유전적 특징이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견되면, 사라진 파편을 복원하는 건 연구사의 몫이다. 석고로 비어있는 부분을 만든 뒤
기존
유물과 유사한 색으로 칠하는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문화재를 다룰 땐 반드시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물질을 써야 한다”며 “현재 사용하는 복원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인구 같은 데이터에 위치정보를 더하면 이 데이터는 3차원 데이터가 된다. 그러면
기존
에 할 수 없었던 새로운 분석이 가능해진다. 데이터가 공간에서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간 빅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최적의 계획을 단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낼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논문 발표에도 동료 천문학자는 물론, 과학계도 싸늘했다.
기존
천문학자들 중에는 잰스키의 논문과 주장의 진실 여부를 판단할 전문가가 없었기 때문이다.전파천문학 시대를 열다잰스키는 자신의 연구 내용을 기초로 새로운 모습의 안테나를 만들자고 벨연구소에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