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캔이 정보를 인식하는 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함께 활용하는 방식이다. 캔으로 처리하던 기존 신호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많은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새로운 장치들의 신호는 높은 주파수 영역대에 실어 보낸다. 캔은 높은 영역대의 주파수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에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방식은 유정란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세포배양이나 유전자 재조합으로 항원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더읽을거리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특집 ‘세상에서 가장 영악한 바이러스, 인플루엔자’(2017.2)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 ...
- 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만약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길, 장애물이 있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걷는다면 쉽게 넘어지고 말거예요. 최근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구현하기 위해 발바닥 모양에 주목했어요. 로봇의 딱딱한 걸음걸이가 평평한 발바닥 때문이라고 생각한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답니다. 해조류가 어느 정도 자라면 인공어초를 그대로 바다 속에 투입해요. 이런 방식을 ‘종묘 이식’이라고 하지요.이외에도 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성숙한 해조류를 양파망에 넣어 인공어초에 매다는 ‘모조 주머니 시설’을 설치하기도 해요. 또 해조류의 포자를 퍼뜨린 그물망을 바다 속 ... ...
- [Infographic] 체조부터 발레까지… 춤은 ‘관절’이 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동작을 가능하게 한 관절의 유연성입니다. 관절 유형신체는 전체적으로 보면 복잡한 방식으로 움직이지만, 개별 관절에서는 제한된 범위의 운동만 일어난다.일부 관절은 운동이 매우 제한돼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는데, 그 예로는 무릎 아래 종아리(하퇴)에 있는 두 개의 긴뼈인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전송실험에 성공했으며, 최근 유럽에서는 143km 떨어진 곳에서 무선방식으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기록을 세웠다.최대 100km 수준이면 아직 현재의 연결망을 대체하기에 역부족이지 않을까. 곽 랩장은 “SKT에서도 유선상으로 113km 떨어진 거리 전송에 성공했는데 광케이블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금속 소재의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또 다양한 원소와 섞어 합금을 만드는 방식으로 그 쓰임새를 더욱 확장해 가고 있다.철의 탄생과학자들은 137억 년 전 ‘빅뱅’이란 사건으로 에너지와 물질 그리고 시공간이 태어나며 우리의 우주가 시작됐다고 설명한다. 이때 원자번호 1, 2, 3번인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때문에 상대방이 이득을 보건 손해를 보건 그건 내가 알 바 아니다. 악의의 진화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악의적 행위자가 손실을 감수하면서 상대방에게 해를 끼쳤을 때, 피해를 본 상대방의 주변 이웃은 덕분에 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줄어드는 뜻밖의 이득을 누린다. 손 안 대고 코를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추력기의 반전전자기파 추력기는 2001년 영국의 발명가 로저 쇼이어가 처음 제안한 추진 방식이다. 뾰족한 끝 부분이 잘린 원뿔 모양의 금속 통 안에 전자기파를 넣어주면 그 안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가 추진력을 만들어낸다는 원리다. 전자기파가 원형의 양쪽 끝부분에 가하는 압력이 ... ...
- [Career] ‘비움의 미학’ 실현하는 3D 프린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공장에서는 재료를 기계로 깎거나 틀에 재료를 넣고 굳히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런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제품 디자인이 복잡할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여러 부분으로 각자 만들어 조립을 해야 해 번거롭다.김 교수는 3D 프린터로 해결했다. 그는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제조 단계를 줄일 수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