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감마선 등 기존보다 200배 많은
빛
을 방출했다고 발표했다. 백조자리 V404가 이렇게 많은
빛
을 쏟아낸 건 1989년 이후 처음이다.지구에서 78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 V404는 1938년과 1956년에도 폭발적으로 밝아진 적이 있다. 당시에는 별이 내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돼 폭발하는 ‘신성(nova)’으로 ... ...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제작한 물건에서 독성이 검출됐다고 ‘환경 과학과 기술’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빛
을 받으면 고체로 변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해 원하는 부분만 고체로 만드는 STL 방식과 재료를 녹여서 쌓는 FDM 방식은 3D 프린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두 기술의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FDM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이동했다. 특정 자극을 중요시 할 때, 다른 종류의 자극을 무시하는 것이다.다음에는
빛
과 소리 자극이 동시에 주어질 때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쥐의 뇌 특정 부위를 비활성화시켰다. 실험 결과 전두엽피질을 비활성화시켰을 때와 시상망상핵(TRN)을 비활성화시켰을 때 올바른 방향을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중 하나였다.
빛
인 레이저가 어떻게 진행하다가 멈출 수 있느냐는 것이다. 게다가
빛
과
빛
이 서로 충돌한다는 설정은 중학교 수준의 과학 상식만 알아도 말이 안 되는 얘기다. 하지만 만약 레이저가 아니라면? 윤정식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부센터장은 “플라즈마를 이용할 경우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글자를 쳐야 하는 키보드의 경우에는 하드웨어가 사라지더라도
빛
으로 책상에 자판 모양을 쏘아 손가락으로 두드려야 할 것이다.게다가 아직까지 터치스크린 없이 허공에서 이뤄지는 제스처는 한 번에 입력하기가 쉽지 않다. 같은 동작 또는 같은 말을 여러 번 반복해야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이용해 방향을 맞추지요. 그 원리는 볼록렌즈와 반대라고 생각하면 돼요. 먼저
빛
이 모이는 렌즈의 초점은 소리를 만드는 음성입술에 해당돼요. 음성입술에서 만들어진 소리는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멜론’을 거쳐 물 밖으로 나가지요.멜론은 돌고래의 커다랗고 둥글한 이마 아래에 위치하고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줄게요. 분무기로 공중에 물을 뿌린 후에 재빨리 사진을 찍는 거예요. 그러면 물방울이
빛
을 반사하면서 아름다운 배경이 만들어져요. 오늘 바로 도전해 보세요!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찰칵!나다브 바김 작가는 자연과 동물을 아주 사랑해요. 작은 생물들의 사진을 많이 찍는 이유도 많은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않았던 라마누잔의 연구 자료였다. 이렇게 라마누잔의 잃어버린 노트가 다시 세상의
빛
을 보게 됐다.수학자들에게 라마누잔의 노트는 분명 이상해 보였겠지만 충분히 매력이 있었다. 학계에서 쓰지 않는 기호로 증명 없이 써 놓은 공식이 나중에 의미 있는 정확한 식으로 판명되는 경우가 많았기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사랑이
빛
이나 소리의 파장처럼 존재한다는 ‘Wave’, 힘든 시기에 놓인 청년들이
빛
을 찾아낸다는 ‘Light’, 사랑의 본질을 물리적으로 해석하는 ‘Atomic’, 너와 내가 만난 일이 확률이 아닌 운명이라는 내용의 ’주사위 놀이‘처럼 물리학·수학 용어를 제목으로 한 곡이 있다. 사랑이나 추억, 운명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복잡성을 이용하는 것이다.식물은 평생 광합성을 하면서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와
빛
에너지로 양분(포도당)을 만들고 대기 중에 산소를 내보낸다. 즉, 코발스키 교수팀은 식물화석에 나타나 있는 정보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을 추정해 기후를 알아낸 것이다. 코발스키 교수는 이 모형으로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