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자동차 부품 센터 지붕에 1만 9000㎡ 규모로 지붕형 태양광 시스템을 설치했다.이 시스템에서는 연간 120만kWh 정도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것은 3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이 발전소는 정부에서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정부는 이 정책을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만드는 데에 성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엑소믹스’라고 이름 붙인 이 시스템은 그래픽카드 1792개를 병렬 연결해 수백 개의 CPU를 지닌 슈퍼컴퓨터 못지 않은 처리속도를 낸다.2000년대 초,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는 이미 컴퓨터의 분석 속도가 대용량의 실험 데이터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1W 생성 비용을 0.5달러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다.하지만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의 시스템과 부품을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혹시나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닐까. 최 교수는 알록달록한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었다. 꽃잎 같기도 하고, 벽지 무늬 같기도 한 그림의 정체는 나노 ...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있습니다. 환경 장비로는 엔진의 폐열을 이용해 공조기 온도를 조절하는 폐열 재활용 시스템과, 바다에 배출하는 물을 최대한 정화시켜 배출하는 정화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배출수는 국제적인 기준이 엄격합니다. 오염물 농도를 15ppm(우리나라 해역수질기준 1등급과 2등급 사이에 해당) 이하로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만든 국내 최초의 인터랙티브 선거 데이터 지도로, 정밀한 실제 지도에 지리정보시스템(GIS)과 대용량 선거 데이터를 연결해 만들었다.데이터 기반 선거가 발달한 미국에서는 과거 자료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가 선거에 활용되며, 시각화 사례도 풍부하다. ‘뉴욕타임스’는 2012년 미국 대선에 ...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일본 유명 로켓 공학자를 인터뷰한 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을 인터뷰했습니다.Do!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에 대한 참여 열의가 뜨겁습니다. 과학에 대한 여러분들의 관심과 기사 쓰기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홈페이지에 접속해 다른 ...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발사체를 이용해 달 탐사가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Q. 인공위성들이 충돌하지 않기 위한 시스템이 있나요? 충돌한 사고는 없었나요?지금까지 6000여개의 인공위성이 발사됐어요. 정지궤도 자리는 한정돼있기 때문에 규제가 있어요. 정지궤도 통신방송위성이 임무를 다했다면 자리를 비켜줘야죠. 다른 ...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어디든 위치 파악해로드뷰와 스토어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기술은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이다. 어디서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는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스마트폰이나 비행기의 자동항법장치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GPS는 미국 국방부가 쏘아 올린 약 24개의 GPS 위성이 보내는 ... ...
- Part2. 인공 뇌 만들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지난해 10월 일본 도쿄대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팀은 ‘극소형 화학·생명과학 분석시스템 국제학술회의’에서 작은 판에 뉴런 하나를 붙인 뒤 뉴런의 축색돌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라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 뉴런은 신경망을 이루는 한 단위로, 이를 조립해 ... ...
- Part3. 별 걸 다 맡아!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고유한 냄새를 분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채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