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과학자들은 앞으로 한반도에서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연구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입
을 모은다*리히터 규모 : 지진의 크기를 뜻하며 1~9까지 있다. 숫자가 클수록 지진이 세다 ... ...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이유는?물은 40℃만 되어도 너무 뜨거워서 만질 수도 없는데 70℃의 찜질방에서는 화상을
입
지 않는 이유. 바로 열용량 때문이다. 열용량은 물체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물은 공기보다 열용량이 매우 높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온도의 물과 공기라면 물이 공기보다 가지고 있는 열의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교수는 국제 컨소시엄을 구성해 X선 영상전용 빔라인을 갖추고 본격적인 공동연구에 돌
입
했다.그 결과 2002년 전기도금의 실시간 영상을 네이처에 발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의학 분야에까지도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두 과학자는 스위스와 한국에서 각국의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근육주사로 위의 움직임을 억제시킨 뒤 진행한다. 위를 부풀리기 위해 공기를 주
입
하므로 검사가 끝나면 트림이 많이 난다. 위장조영촬영내시경이 부담스럽다면 위장조영촬영을 하면 된다. 검사 직전 하얀 조영제를 마시는데, 그 안에는 바륨과 공기가 혼합돼 있다. X선을 흡수하는 바륨과 그대로 ... ...
빠져드는 게임중독의 늪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게임을 하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칠 것 같은 이유가 밝혀졌다.미국 로체스터대의 리처드 리안 박사팀은 “비디오게임에 중독되는 이유는 게임이 정신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이라고 학술지 ‘동기와 감정’(Motivation and Emotion) 1월 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1000명의 게이머를 대상으로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뜬바닥 구조는 내부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신형 지하철은 대부분 저소음 전동차
입
니다. 신형 지하철 중에서도 판토그래프(집전장치)가 달리지 않은 T-카는 다른 차량에 비해 소음이 작죠. 지하철 소음을 피하고 싶은 분은 신형 지하철의 T-카를 타라고 권하고 싶군요.”김 탐정이 로템의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으며 핵산은 2중사슬 RNA이다보통 바이러스
입
자는 지름 3~6μm의 다각체라는 단백질의 봉
입
체(封入體) 속에 불규칙하게 들어 있다다각체에는 정이십면체 · 정육면체 · 부정형 등 여러 가지이며 이런 모양은 바이러스의 종류 또는 계통에 따라 일정하다핵(核) 속이 아니라 세포질에 있는 유전자에 ... ...
당신이 마신 술의 양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인정했다.실제로 음주측정에서 측정값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기기를
입
에 대면 저절로 측정값이 나온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기기가 하는 일이라곤 알코올 센서가 측정한 전기신호를 수치로 나타낼 뿐이다. 그런데 이 값은 센서의 종류나 성능에 따라 변한다. 때문에 ... ...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쉽지요. 과학체험놀이는 친구들과 신나게 놀이를 즐기면서 영재성을 키우는 좋은 방법
입
니다. 혼자 하는 공부보다 함께하는 놀이가 영재가 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지요. 어과동 친구들도 혼자서만 공부하지 말고 친구들과 재미있는 과학놀이를통해 영재성을 키워 보세요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속눈썹이 긴 사람의 집단에만 나타나는 SNP의 염기서열을 알 수 있다. 예쁜 눈, 코,
입
의 유전자도 같은 과정으로 찾는다.‘운명’을 만드는 ‘우연’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과정 중 어느 하나 쉬운 과정이 없다고 말한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선영 교수는 “‘얼짱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 정도라면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