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
장롱
마켓
창자
장농
농
페이지
d라이브러리
"
장
"(으)로 총 3,731건 검색되었습니다.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1000자 이내), π 도형 만들기, π 퍼즐 만들기, π 시 쓰기, π 노랫말 만들기 등을 통해 가
장
우수한 작품이나 결과물에 선물을 준다. 다음 해 행사를 대비해 아쉬운 점과 다음 해에 했으면 하는 행사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을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면 다음 해에는 만족도를 높인 행사를 열 수 있다.이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치워주는 일을 한다고 천대받은 세월이 100년이다. 이제 신경교세포가 뇌질환 치료의 새
장
을 열고 있다. 앞으로 신경교세포가 보여줄 신세계를 마음껏 상상해보자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민폐가 된다. 지나친 도움은 심리적으로는 다른 사람을 믿지 못하는 불신과 타인의 입
장
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마음이 부족한 데서 온다.따라서 개인마다 올바른 가치관을 세워야 한다. 모든 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판단할지 나만의 분명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 적어도 자신이 나설 필요가 ... ...
Part 2. 여성 수학자, 리더가 되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 현재
장
선영 울산대 수학과 교수가 회
장
을 맡고 있다.
장
교수는 여성 수학자도 리더로서의 가능성이 높다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한국여성수리과학회는 2004년 고계원 아주대 교수님께서 만들자고 제안하셨죠. 한국여성수리과학회가 생기면서 여성 수학자도 수학 실력뿐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실 개미 선생이나 흰개미 선생에 비하면 초보적인 수준입니다만 농사짓기 쉽다는
장
점이 있습니다. 저희는 바닷가에 사는 풀에 상처를 냅니다. 그리고 여기에 곰팡이가 들어 있는 배설물을 바릅니다. 상처 부위로 침입한 곰팡이가 영양분을 섭취해 자라면 저희가 곰팡이를 거둬들이지요. ... ...
구석구석! 동물 몸속 대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제 두 마리밖에 남지 않은 자이언트양쯔자라의 표본도 있어요.근육에서 내
장
까지 훤히 들여다보자!와! 진짜 동물이란 말이지? 그럼 직접 만나 보물이 무엇인지 물어봐야겠군. 그럼 하나씩 자세히 살펴볼까? 잠깐! 파충류 표본을 만진 뒤에는 손을 꼭 씻으세요왕비단구렁이나 거북이, 도마뱀 등 ... ...
“학생이 수학으로 행복해지는 그날까지”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다음과 같이 두꺼운 종이로 된 도형이 있습니다. 이걸로 팽이를 만들려면 어디에 이쑤시개를 꽂아야 할까요?” 일본의 쿠로다 토시오 교수는 물리나 화학 ... 3박 4일 동안 같은 고민을 하는 교사들이 어울리며 열정과 경험과 자료를 나누는 소통의
장
에 가깝다”고 그 의미를 설명했다 ... ...
나로호 3차 발사 2012년으로 연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못해 정부로부터 해임 압박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항우연 관계자는 “이 원
장
은 올해 말로 임기가 끝나기 때문에 사실상 3차 발사가 내년으로 넘어간 지금 물러나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밝혔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57 같은 병원체를 무력화시킨다는 사실이 보고됐다. 아세트산염이 O157이 분비하는 독소가
장
내에서 혈관으로 이동하는 걸 방해했던 것.요거트 광고로 우리에게도 익숙한 이름인 비피더스균은 인체가 병원체의 공격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몰랐다. 이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쉽지 않다. 개인정보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이럴 때 가
장
좋은 대상은 인터넷 속의 자료다. 방대한 디지털 자료 속에는 사람들의 웹 속 행적인 ‘디지털 로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거대한 가상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