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기
싸이클
순환
자전거
주파수
사이클
과하기
d라이브러리
"
주기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감광성 고분자에 쬐어준 뒤 특정 용매로 현상해
주기
적인 패턴을 만들었다. 이
주기
적인 패턴은 굴절률의 변화를 가져와 광결정으로 이용될 수 있다.단 광결정은 한번 만들면 바꿀 수 없다. 여기서 연구단만의 기지를 발휘했다. 연구단은 광결정 속으로 액체를 흘려서 굴절률을 바꾸는 방법으로 광 ... ...
바이아블랑카에서 다윈의 향기를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사람이다. 또한 기초적인 측량 및 연구 자료를 제공해, 다윈이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주기
도 했다.다윈이 바이아블랑카에서 주로 한 일은 화석을 발굴한 것이다. 버스를 타고 화석을 찾은 바닷가를 가 보았다. 바닷가에는 항구박물관이 있었으나 문을 열지 않았고, 근처에는 공장이 들어서서 화석을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빙하기가 올까?❷지구에 남은 흔적으로 알아보자하지만 기후 변화가 일어난 원인을
주기
만 가지고 설명하는 건 무리가 있어. 기후가 변했던 시기마다 커다란 화산 폭발이나 지각 변동과 같은 특별한 이유가 있을 수도 있거든. 그래서 요즘은 과거의 특정한 시기에 있었던 기후 변화가 왜 ... ...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먼저 달의 모양 변화를 4등분해 7일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달의 모양이 변하는
주기
인 29.5일을 4로 나누면 대략 7일이 됩니다. 옛날 사람들이 달의 모양을 보고 적당히 날짜를 나눠 생활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또 다른 설은 우리가 매눈으로 볼 수 있는 천체에서 왔다는 것입니다. 태양과 달,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
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데 이 발견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 ...
겨울 추위 녹이는 우리 자연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기 새를 더 많이 업어
주기
는 기본. 수컷은 아기 새가 먹이를 잘 소화하도록 도와
주기
위해 자기 목에 둘려 있는 깃털 중 하나를 뽑아 아기 새의 입에 넣는다. 뿔논병아리는 매나 올빼미처럼 음식 찌꺼기를 걸러낼 모래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먹이를 먹은 뒤 물고기 뼈 같이 소화되지 않는 부분은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몸집이 2배로 커져야 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커지지 않았다.관찰 결과 이 해면은 세포분열
주기
가 5.4시간으로 매우 빨랐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이 과정에서 죽은 세포는 거의 없었다. 분열된 세포가 사멸하지 않는다면 해면의 크기는 증가해야 한다.이 모순된 상황은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동시에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물체가 클수록 더 무거울 것이라고 생각해 큰 물체를 들 때 애초에 어깨에 힘을 더
주기
때문이라 예상할 뿐이다. 실제로 실험을 통해서 사람들은 작은 것보다 큰 것을 들 때 애초부터 더 많은 힘을 준다는 게 밝혀졌다.하지만 이 실험을 반복할 경우는 달랐다.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두 개에 동일한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천릿길도 멀다 않고 이렇게 와준 것은 과인에게 부국강병(富國强兵)의 비책을 가르쳐
주기
위함이 아니겠소?” “전하. 저는 귀국의 부국강병과 상관없이 인의(仁義)에 대해 아뢰고자 왔습니다.” “백성을 생각한다는 인의의 정치라면 과인은 평소부터 힘써 베풀어 왔소. 예컨대 하내(河內) 지방에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생기는 그림자의 길이로도 일 년의 날 수를 셀 수 있습니다. 해가 뜨는 높이는 일 년을
주기
로 반복되기 때문에 그림자가 가장 길어지는 순간부터 다시 그림자가 가장 길어지는 순간까지의 날 수를 세면 됩니다. 동양에서는 규표라는 도구를 이용해 그림자의 길이를 쟀지요. 수평으로 놓인 눈금자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