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차례로 그림과 같다. 이렇게 산가지로 수를 나타내고 이리저리 움직여서 계산도 했다.
중국
에서는 15세기 중반까지,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까지 계산에 산가지를 이용했다. 그 뒤 주판이 사용됐는데, 이는 서양에서 전해 들어왔다. 중동과 서양에서는 옛날부터 계산을 할 때 주판을 사용했다. 산대와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만들도록 명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이다.칠정산내편은
중국
식 역법을 우리나라에 맞게 고쳐 만든 역법이다. 해와 달의 위치 변화가 표로 담겨 있어 이를 이용해 해와 달이 언제 같은 자리에 오는지 계산했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원의 중심각을 1년의 길이인 365.2425°로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조리사의 어깨에 걸쳐진 반죽 덩어리에서 기다란 하얀 면들이 후드득하고 떨어졌다.
중국
에서 온 슈리군 조리사의 손에 들린 도구라고는 납작하고 손바닥만 한 스테인리스 칼뿐. 그는 물컹한 밀가루 반죽은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듯 빠르고 깔끔하게 면을 깎아내 갔다. 이 면은 칼로 반죽을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이에서 나오기 시작했다.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이종이식학회는 지난 해 11월
중국
에서 이종장기이식 연구가 활발한 19개국(한국 포함)을 모집해 회의를 열고 ‘이종이식 임상적용규제’에 관한 의정서를 채택했다. 이 의정서는 장기 공급원인 돼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것, 동물실험으로 먼저 ... ...
“꽃가루를 사수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그야말로 각양각색이다. 왜 그렇게 다양한 모양으로 진화했을까. 이 궁금증에 대해
중국
의 과학자들이 8월 6일 BBC와의 인터뷰를 통해 ‘꽃가루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대답을 내놓았다.
중국
우한대 윤 윤 마오 박사와 슈앙 콴 후앙 박사 연구팀은 대학 캠퍼스 주변과 우한식물원에서 자라고 있는 8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재래종 닭이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최근 알아냈다. 이에 비해 한국이나
중국
, 유럽 등지에서 상업용으로 개량된 닭은 유전적 다양성이 크게 줄었다. 옴메 연구원은 “아프리카 닭 가운데 일부는 특정 유전자(Mx)에 다른 나라 개량종 닭과 다른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Mx는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말로도 쓰인다.계륵의 유래는‘삼국지’의 조조(曹操)에 대한 일화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
에서 본격적인 삼국시대가 형성되기 이전인 216년, 위(魏)나라의 조조는 스스로 왕위에 올라 위왕이라고 자칭했다. 그리고 3년 뒤인 219년에 유비(劉備)와 한중(漢中) 땅을 놓고 다퉜다. 이때 유비도 이미 익주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백분병과 갈반병에 강한 특성도 함께 갖췄다.‘중화녹두 1호’라고 이름 붙은 이 품종은
중국
전체 녹두 재배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게 됐다. 토착병이 워낙 강한 인도를 제외한 모든 아시아 국가에 수출됐고, 한국에도 ‘선화녹두’라는 이름으로 들어왔다. 1990년대 아시아채소연구개발센터의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류 활동이 약화됐고 상대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대류활동이 강화되면서
중국
쪽에서 저기압이 자주 발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기상청은 일단 7월 말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상하면서 장마전선이 소멸한 뒤 8월에는 무더운 날씨가 찾아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예년과 같이 7월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할 때 편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모기 다리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연구팀도 있다.
중국
달리안기술대 첸웨이 우 박사팀은 2007년 모기 다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털들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모기는 이 털 덕분에 물에 젖지 않고 표면장력이 생겨 물 위에서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