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는 두 개지만
결국
공동 운명'…올해의 사자성어 '공명지조(共命之鳥)'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챙겨 먹었는데, 다른 머리가 이에 질투심을 느낀 나머지 독이 든 열매를 몰래 먹었고
결국
생명을 잃고 만다는 이야기가 내려온다. 서로가 어느 한 쪽이 없어지면 자기만 살 것 같이 생각하지만 사실 공멸하게 되는 ‘운명공동체’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된다. 공명지조를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 ...
월성1호기, 표결로 늘어난 수명 표결로 끝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변호사 경력이 있어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않는 회피 선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출석 위원은 7명으로 5명이 표결에 찬성해야 표결로 갈 수 있다. 원안 의결을 반대할 것이 유력해 보이는 자유한국당 추천 의원 2명을 제외하면 한 명의 이탈표도 없어야 표결에 들어갈 수 있는 셈이다. 표결에 ... ...
[주말N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
2019.12.14
연구 결과를 읽고, 논문에 사용된 기술 하나를 개선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결국
세 수학자는 두 논문을 합쳐서 하나로 만들기로 합의했습니다. 다음으로 도전해야 할 주제로는 logt를 아예 없애서 ct 이하라는 것을 증명하는 겁니다. 이 역시 여러 수학자가 ‘이거라도 풀어보자’며 199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역시 얼음 속에 있는 액체층과 함께 준액체층으로 불린다.
결국
준액체층에 스케이트 날이 미끄러지는 것이다. 수소야, 움직여라 보통 음식을 오래 보관하려면 냉동실에 얼린다. 얼리면 미생물이나 여러 물질이 음식의 재료와 일으키는 화학반응을 막을 수 있다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어떻게 될까? 이때는 무한히 먼 곳에서 빗면이 위로 솟아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결국
공은 무한히 먼 곳까지 굴러갈 것이다. wikidok 제공 그러니까 마찰이 없다면 빗면을 굴러 내려온 공은 가만히 내버려둬도 무한히 멀리 계속해서 굴러갈 것이다. 이 결과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취약해졌다. 그 결과 지질 과산화물이 축적되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되고
결국
개체에 해가 된다. 따라서 어느 수준 이상이 돼 복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자살 프로그램이 가동하게 진화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암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이다. 암은 생리 균형이 깨진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줄무늬' 정체는 얼음 분출 균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냉각되기를 반복한다. 물이 녹았다 얼면 부피가 늘어나기에, 반복되는 가열과 냉각은
결국
얼음지각에 긴 균열을 형성한다. 특히 남북극은 이런 영향을 크게 받아 얼음지각이 얇다. 이곳이 바로 지하의 물이 분출해 영하 190도 이하의 혹독한 추위에 작은 얼음이 돼 위성 주변에 흩어지는 곳이다. ... ...
英과학자 "한국 한방 난임치료 연구 '비과학적'" 논문심사 거부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편 이상 게재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는 한의학계가 국고를 거액 지원 받고도
결국
명확한 근거를 찾지 못하고 성급한 결과를 내놨다고 보고 있다. 한방 난임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려면 잘 설계된 연구를 통해 뚜렷한 데이터와 과학적인 근거를 얻고 국제 학계 공인을 받아야 ... ...
[기자의 눈] 해무는 '빨리' 달리고 싶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KTX보다 더 빠른 속도를 추구하기 위해 개발됐다. 속도를 추구하는 기술을 만들어놓고도
결국
이용 방법을 찾지 못해 포기한다면 시속 500~600㎞를 돌파하는 다음 고속열차는 나올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보는 게 맞다. 하이퍼루프라는 초고속 교통수단이 주목을 받고는 있지만 과연 이 역시 같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6일 깜깜한 밤하늘 아래 지구의 저 깊은 곳부터 끓어오르고 있는 불꽃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하와이 킬 ... 주는 현상이다. 막대한 에너지를 가진 마그마도 갈 곳을 잃고 지표면을 때리기 시작하고
결국
땅이 이를 이기지 못해 막대한 분출로 이어지게 된다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