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시
강시
동일시
동일화
같은시간
같은시기
동기
뉴스
"
동시
"(으)로 총 1,860건 검색되었습니다.
평소 겁 많고 불안하다면, ‘이것’ 때문일 거에요
2015.01.20
통해 두려운 감정은 당시 두려움을 유발한 기억과 함께 뇌의 편도체 중심핵 부위에서
동시
에 학습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무엇이 편도체 중심핵을 조절해서 두려운 감정을 만드는지는 알지 못했다. 연구진은 뇌에서 스트레스를 인식하는 뇌실핵에 주목하고 쥐를 이용한 실험을 ... ...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기기 개발에 꼭 필요한 차세대 전자소재 그래핀 제조 기술을 국내 두 대학 연구진이
동시
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탄소를 원자 두께로 얇게 떠 낸 물질로 강하고 전기가 잘 흐르는 데다 접거나 구부릴 수도 있어 고성능 웨어러블 기기 제작에 꼭 필요한 물질로 꼽힌다. ● KAIST, 도장 찍듯 쿡 찍어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유인원들이 살아남아 현재의 침팬지와 고릴라로 진화했다는 것이죠. 삼림과 초목지대가
동시
에 있는 동아프리카에서는 나무 위와 아래 평지를 모두 활동지역으로 삼을 수 있는 직립보행 유인원이 살아남아 인류로 진화했고요. 하지만 라미두스가 살던 환경은 초원이 아닌 삼림지대입니다. 초원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결어긋남을 다 막을 수만 있다면 당신도 두 개의 문을
동시
에 지날 수 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숨도 쉬지 말아야 하고, 단 하나의 공기분자와 부딪혀도 안 되며, 빛과 부딪혀도 안 된다. 더구나 단 하나의 원자라도 흘리면 안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이 사실상 ... ...
[CES 2015]삼성전자, 최적화된 미래 가전 제시
동아닷컴
l
2015.01.06
상하부의 문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어 냄새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각기 다른 온도로
동시
에 두 가지 요리를 할 수 있다. 빨래판과 물 분사 시스템 ‘워터젯’을 갖춰 애벌빨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액티브워시’ 세탁기의 혁신적인 세부 구조도 상세하게 소개했다. 이 제품은 세탁기 위에서 ... ...
간 80% 넘게 손상돼야 이상신호 느껴져… 국소 방사선 요법으로 癌크기 줄여 절제
동아일보
l
2015.01.05
환자의 5년 생존율이 50%에 이를 정도로 성과를 냈다. 최 교수는 “국소적 항암방사선
동시
요법을 시행하면 수술 후 잔존 간의 크기가 커져 환자의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된다”며 “고도로 진행된 간암 환자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복합적 항암치료법에 따라 머지않은 미래에는 현재보다 좋은 결과를 ... ...
신년사로 본 2015년 출연硏 화두
2015.01.04
목표도 제시했다. 신용현 원장은 “중소·중견기업에게 측정분야 기술을 지원하는
동시
에 안정적인 연구분위기 조성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아예 ‘의미있고 가치있는 성과창출에 매진합시다’란 말을 올해의 첫째 목표로 내걸었다. 각 담당자들이 자신이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이 정도면 할머니에게는 첫 번째 강의로 넘치고도 남을 것이다. 전자는 두 개의 구멍을
동시
에 지나간다. 이것은 전자가 파동의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아직도 수없이 많은 의문이 꼬리를 물고 생겨난다면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 교수의 ... ...
나이 들면 쇼핑도 힘들어!
과학동아
l
2014.12.22
할 물건 그림을 보여주고, 각 물건의 별점을 매겨 사야할지 말아야할지 판단하게 했다.
동시
에 그들의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fMRI로 촬영했다. 연구 결과 젊은이와 노인 사이에 물건의 별점을 판단하는 속도와 점수 결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판단 과정에서 촬영한 fMRI 영상에서는 선명한 ... ...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은 줄기세포 연구자의 염원이기도 하다. 한 번 운명이 결정된 체세포를 마음대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로 돌릴 수 있다면 한층 쉽게 줄기세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돌리는 과정을 ‘역분화’라고 한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