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558건 검색되었습니다.
퇴행성뇌질환 원인 뇌 위축 패턴 찾았다…뇌 영상 5만장, AI로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MRI)을 촬영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5일
발표
했다. 앞선 연구에선 기계학습으로 MRI을 분석하면 노화로 인한 체내의 미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는 비교적 작은 규모로 이뤄졌기 때문에 뇌의 변화를 상세히 분석하는 ... ...
우주청 하반기 일반 임기제공무원 채용 경쟁률 9.1대 1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집계됐으며 7급 연구원은 14.8대 1을 기록했다. 서류전형 합격자는 다음 달 6일
발표
된다. 이후 24일부터 26일까지 면접시험을 실시한다. 최종 합격자는 11월 초 우주청 홈페이지 및 인사혁신처 통합채용포털 등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 ...
조류 독감이 사람에게 잘 전파되지 않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포유류로 복제되는지 확인한 연구 결과를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
했다. 조류와 포유류는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감염병 전파 시 종간 장벽이 형성된다. 조류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포유류에게도 감염을 유발하려면 해당 ... ...
실제 음악 맞춰 꿈 속에서 춤춘다?…자각몽 제어 연구성과 '속속'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사람이 현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에 맞춰 꿈속에서 춤을 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
했다. 앞서 지난 2021년 이 연구팀은 음성이나 번쩍이는 빛을 통해 전달되는 모스 부호를 사용해 자각몽을 꾸는 중인 사람에게 수학적 계산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줘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 ...
만성 '장 트러블' 염증성 장질환, 원인·치료법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장내미생물도 염증성 장질환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 연구팀은 7월
발표
한 연구에서 염증성 장질환 환자와 정상인의 대변 샘플에서 미생물 균주 14만 개를 확인했다. 수백 개의 균주가 염증성 장질환과 관련이 있었고 일부 균주는 염증 조직에 적응해서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 ...
전공의 복귀 없자 줄줄이 사직 처리…개원가로 쏟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레지던트 사직자 중 971명이 병원, 의원 등 의료기관에 취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5일
발표
된 625명보다 346명이나 늘어난 숫자다. 수련병원들은 전공의 추가 모집보다는 사직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꿀 수 있는 진료 전담 일반의 채용 등에 나섰다. 한편 사직 전공의들이 개원가로 갈 가능성이 큰 ... ...
6번째 대멸종 막기 위한 보호구역은 지구 면적 단 1.2%
과학동아
l
2024.08.17
"지구 면적의 약 1.2%만 철저히 보호해도 여섯 번째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doi: 10.3389/fsci.2024.1349350) 대멸종이란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생물 종이 급격하게 멸종하는 사건이다. 그동안 다섯 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가장 최근 일어난 것이 약 6600만 년 전 공룡과 함께 전지구 ... ...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고성능 인공지능(AI)까지 탑재해 대화하듯 실시간 소통도 가능하다(최근 오픈AI가
발표
해 화제인 스피치 투 스피치 생성 AI인 것이다). 누군가는 'SF라지만 과장이 심하네'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언맨 슈트의 기능은 대부분 현재 기술로 구현 가능한 기술들이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플라잉 ... ...
[표지로 읽는 과학] 스톤헨지 거대 돌기둥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17
파편을 분석해 스코틀랜드에서 온 블루스톤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14일 네이처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제단석이 스코틀랜드 북동쪽에 있는 오르카디안 분지에 있는 구적색 사암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제단석 파편에서 나온 쇄암질 지르콘, 인회석, 금홍석 알갱이의 연대와 화학적 ... ...
[동물do감] 제브라피쉬, 다친 척수 재생 능력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
했다. 제브라피쉬는 잘린 척수를 완전히 회복할 수 있는 희귀한 동물이다. 연구팀은 제브라피쉬의 척수 재생 관련 세포들을 분석해 어떻게 회복에 이를 수 있는지 살폈다. 그 결과 잘린 척수에 있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