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
간접
중위
도중
중도
반도
가운데
뉴스
"
중간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좌우에서 막대가 고정한 단순한 형태다. 다만 뒤쪽에 두 고리를 연결한 줄이 있고 줄
중간
에 길이 10cm 정도의 스프링이 달려 있다. ‘휴보’ 같은 최첨단 이족보행로봇이 사람 흉내를 내는 시대에 초등학생들이 만든 것 같은 엉성한 장비를 만들어 ‘네이처’ 같은 일급저널에 논문을 냈다는 게 ... ...
5세대 통신기술에 필요하다는 ‘밀리미터파’의 모든 것
2015.07.12
발표했다. 이 기술 역시 밀리미터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5G 시장 진입에 앞서 개발한
중간
연구성과 같은 느낌이 강하다. 이런 흐름은 대기업도 마찬가지다. KT는 아예 전문 연구기관을 새로 개설했다. ‘5G 연구개발(R&D) 센터’를 서초구 우면동에 있는 KT우면연구센터에 만들었다. 이 센터는 단순한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김의경 경상대 수의학과 교수는 “노무라입깃 해파리는 독성 해파리 중에서는 독성이
중간
정도로 맹독성은 아니지만 꽤 강하다”고 말했다. 노무라입깃 해파리는 한반도 해역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해파리 중 하나다. 동해, 서해, 남해를 가리지 않고 전체 해역에 출몰하고 있다. 갓 지름이 2m, ... ...
[수도권]서울대공원 “도전! 멸종위기 금개구리 복원”
동아일보
l
2015.07.10
2월부터 ‘금개구리 복원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도심 생태계를 회복하려면 먹이사슬
중간
자인 양서류 복원이 필수였기 때문이다. 영문명에 ‘서울(Seoul)’이 들어간 금개구리가 최적의 복원 후보로 선정됐다. 하지만 지난해 첫 도전은 실패했다. 금개구리 올챙이의 먹이를 제대로 공급하지 ... ...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통신선 한 가닥에 최대 40Gb(기가비피에스)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지만 송·수신 장치 등
중간
에 개입하는 컴퓨터 등의 속도가 느려 보통 1~2Gbp 속도로만 통신이 가능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컴퓨터의 속도가 크게 개선된다. 연산장치(CPU)와 저장장치 사이의 병목 현상을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집합의 움직임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연구를 통해 얻은
중간
결과를 내놓는 데 그치지 않고 후배 과학자들에게 의식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룰 것을 매우 적극적으로 주장한다. 그동안 철학이나 종교의 영역에서만 언급됐던 의식과 정신, 영혼 등을 철저한 과학적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차례대로 진행해야 한다. 제한시간은 한 시간. 만약 로봇이 오작동을 일으켜
중간
에 사람이 개입하면 10분의 패널티가 주어진다. 과제를 40분 만에 수행해도 50분으로 기록되는 것. 같은 점수라면 빨리 도착하는 팀이 이기는 조건이기 때문에 적잖은 부담이다. 다르파(DARPA)는 2013년 12월에도 미국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불리는 것뿐이에요. 최근에는 무선인터넷 속도도 초당 1기가비트가 넘습니다. 무선 통신
중간
에 기지국과 같이 광섬유 기술을 적용한 장치를 써서 통신 효율을 최대한 높였거든요.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볼 때 요즘은 거의 끊기는 일이 없잖아요. 세상 참 많이 좋아졌습니다. 광컴퓨터 여러분 ... ...
지저귄다구요? 저희도 대화하는 거랍니다~
2015.06.30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 29일자에 밝혔다. 꼬리치레는 참새목에 속하는
중간
크기의 새로 사회성이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주로 산림지대에서 서식한다. 연구팀은 꼬리치레가 ‘A’와 ‘B’의 두 가지 형태의 기본적인 음성을 조합해가며 의미 있는 소리를 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만들 확률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지능 창발을 어떻게 구현할 건지 구체적인
중간
단계가 생략돼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인간은 지능 창발의 기본이 되는 물리계인 두뇌에 대해서 아는 게 거의 없다. 이성환 교수는 “인간이 뇌를 연구한 지 100년이 넘었지만, 두뇌 전체 기능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도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