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표"(으)로 총 2,0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04
- ‘로라인’ 프로젝트다(아래 사진). 로라인은 축구장 두 배에 달하는 넓이로, 깊이가 지표면에서 불과 10m 안팎에 불과한 지하공간이다. 뉴욕시는 인공광이 아닌 자연광을 지하로 끌어들여 식물이 자라게 할 계획이다. 뉴욕 맨해튼에 있는 폐전차역(지하)을 지하공원으로 개조하는 로라인 프로젝트 ... ...
- 中企마저 휘청 ‘성장동력 비상’… 기업지원 출연연 사업 ‘지지부진’2016.10.18
- 본보와 한국경제연구원이 공동으로 분석한 2006~2015년 10년간의 중소 제조기업 지표에서는 적자기업과 한계기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 외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자산증가율이다. 분석 대상 중소기업들의 전년 대비 자산증가율은 2006년 12.2%에서 지난해는 4.4%까지 떨어졌다. 2011년(10.5%) ... ...
- 웜홀로 떠나는 수중 생태계 탐험! 아쿠아플라넷63어린이과학동아 l2016.10.15
- 곧 1급수라는 뜻이기도 하죠. 수달과 같이 그곳의 환경 조건을 알려 주는 생물을 ‘환경지표종’이라고 부른답니다.” 말썽쟁이 수달은 먹이 시간에도 쉬지 않고 움직인다. - 서동준, 아쿠아플라넷63 제공 한참 수달의 술래잡기를 보고 있을 때, 오찬헌 아쿠아리스트가 양동이를 들고 수족관에 ... ...
- 걷기만 해도 스마트폰 충전… ‘에너지 수확’ 기술 나왔다2016.10.07
- 생긴다. 두 물질이 부딪히는 과정에서 전하들이 분리돼 축적됐다가 엄청난 에너지를 지표면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번개가 한 번 발생할 때 대략 10억 줄(Joule) 이상의 에너지가 나온다. 마찰전기 발전기를 연구는 기존에도 있었지만 연구진은 그 효율을 크게 높였다. 연구진은 수증기와 얼음을 대신 ... ...
- [2016 노벨 화학상]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 기계’동아사이언스 l2016.10.05
- 있다. 그림 4. 프레이서 스토더트가 만든 분자 리프트 모식도. 이 리프트는 스스로를 지표면에서 0.7㎚ 떨어진 높이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 노벨상위원회 제공 한편 장 피에르 소바주 역시 로탁세인에 대해 연구해왔다. 2000년, 소바주 팀은 2개의 고리형 분자를 서로 엮어 인체 근육 조직처럼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01
- 지진의 특성을 좀 더 살펴보면 주향이동 단층의 수평운동이 주로 일어났고, 동시에 지표면에 수직한 면과 10° 남짓한 각도를 갖는 역단층 운동도 함께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단층의 오른쪽과 왼쪽이 엇갈리는 주향이동 단층은 보통 여러 개로 분절돼 있다. 처음에는 단층의 경계면(반원 모양 ... ...
- 한국 판 경계면 아니라 다행? ‘불의 고리’ 밖 지진피해 더 컸다2016.09.30
- 얕은 점도 피해를 키웠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판 내부지진은 지표면에서 5~25㎞ 깊이에 불과한 비교적 얕은 곳에서 발생하는 반면 판 경계지진은 최대 700㎞에 이를 정도로 깊은 곳에서 발생한다”고 말했다. 한 예로 8월 24일 이탈리아 중부 노르차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가 ... ...
- 평균 연구비 가장 높은 연구기관은 ‘항공우주硏’2016.09.28
- 그러나 시설투자비 등이 상대적으로 큰 비용이 필요한 연구분야나 기관을 판단하는 지표로는 볼 수 있다. 출연연 중 1인 평균 연구비가 가장 높은 출연연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으로, 8억 8000만 원에 달했다. 1억 2000만 원으로 가장 낮은 안전성평가연구소에 보다 6.6배 높았다. 대형 ... ...
- “연구비,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09.28
- 정량적인 평가 방식이다. 논문 개수와 저널의 영향력이 과학적인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가 아님에도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주로 한다. 한국연구재단의 경우 2014년부터 평가자들에게 정량적 평가를 지양하고 정성적 평가를 할 것을 주문하고 있지만, 부처마다 상황이 달라 ... ...
- NASA가 중대발표란 이름의 ‘낚시’를 하는 이유2016.09.27
- 놓고 각계에선 ‘NASA가 또 한 번 낚시에 성공했다’는 비아냥이 나오고 있다. 유로파의 지표면은 두께를 알 수 없는 거대한 얼음으로 뒤덮여 있고, 태양계의 지구형 천체 중에서 표면이 가장 매끄럽다. 과학자들은 이를 토대로 얼음 아래에 지구보다 물이 2배나 많은 거대한 바다가 있을 것으로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