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연, 세계
최초
원전 제어기 보안난제 해결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원자력계 물리적 안전과 사이버 보안을 모두 강화하는 혁신적인 성과”라며 “세계
최초
라는 수식에 걸맞게 앞으로도 원자력 보안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 ...
이종호 장관 "소형모듈원자로 등 원자력 분야 성장동력 확충"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원자력에 대한 이같은 과기정통부의 비전을 공개했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는 국내
최초
의 상용원전인 고리1호기가 건설되던 1972년 당시 과학기술처 원자력청 소관 1호 사단법인으로 출범했다. 원전기술자립,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수출, 최근 이집트 원전건설 수주 등 지난 50년간 국내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제철소 부생가스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만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교수팀과의 협업을 통해 전자파 차폐 및 흡수가 가능한 차세대 신소재인 맥신을 세계
최초
로 수직으로 세우고 한 방향으로 배향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일반 종이의 1만분의 1보다 더 얇고 유연한 맥신 나노시트를 수직, 일렬 정렬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이온의 빠른 이동을 유도해 높은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0월 수상자에 안정열‧김용하
동아사이언스
l
2022.10.10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원료를 생산해 나노 플랫폼 기술 수준을 향상시켰다. 또 세계
최초
로 융복합 나노 약물 전달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해 우리나라 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 대표는 “독보적 나노 플랫폼 기술과 새로운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새로운 ... ...
100년간 논쟁 이어진 화석 주인은 익룡 초기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고 말했다. 스털링 네스빗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는 "익룡은 동력비행을 한
최초
의 척추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익룡의 친척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며 "익룡의 진화적 연결고리와 함께 이들의 생활사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얻었다"고 말했다. ... ...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첫 우주인 탄생…'드림캐쳐'와 함께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최초
의 여성 원주민 출신 우주인 니콜 아우나프맨.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미국
최초
의 여성 원주민 출신 우주인이 탄생했다. 원주민들이 악몽을 걸러주고 좋은 꿈만 꾸게 해준다는 의미로 만들었던 토속 장신구인 ‘드림캐처’와 함께 우주로 향한 니콜 아우나프맨은 캘리포니아주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이번 준공식을 계기로 2023년부터 양양실험실의 실험장비도 이전한다. 김 단장은 “세계
최초
로 암흑물질 신호를 잡았다는 연구결과를 내길 희망한다”며 “세계에서 관련 연구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노도영 IBS 원장은 “예미랩의 공동 활용을 활성화해 다양한 국가 과학기술 분야의 성과 ... ...
신종 오미크론 변이 BF.7 유럽·미국서 증가세...국내서도 15건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최근 벨기에와 독일, 프랑스 등 유럽을 중심으로 오미크론 하위변이 BA.5에서 파생된 BF.7 변이 검출률이 증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임 상황총괄단장은 "전 세계적으로 1만 건 정도가 확인되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8월
최초
로 변이가 검출된 이후 현재까지 15건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아인슈타인도 설명 못한 양자현상, 실험으로 증명하다
2022.10.05
베넷 등이 제안한 텔레포테이션 이론을 실험실에서 광자들의 얽힘을 이용하여 1997년에
최초
로 구현했다. 이어서 두 개의 양자 얽힘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얽히지 않았던 광자들을 얽히게 만드는 기술을 발전시켜 장거리 양자 얽힘의 구현과 이를 이용한 장거리 양자 통신의 초석을 놓았다. 또한 두 ... ...
[노벨상 2022] 양자컴퓨터·양자통신 시대 연 과학자 3명, 물리학상 영예(종합)
2022.10.04
멀리 떨어진 입자로 이동할 수 있는 ‘양자 순간이동’이라는 현상을 시연했다. 세계
최초
로 양자통신 실험에 성공한 것이다. 차일링거 교수의 제자인 판젠웨이 중국과학원(CAS) 소속 중국과학기술대 교수는 지난해 1월 4600km 떨어진 곳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