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지"(으)로 총 2,4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2018.11.10
- 일인만큼 앞뒤 안보고 모든 걸 바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겠지만, 실은 그만큼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나를 돌보며’ 하는 게 중요할 것이다. 스콧 배리 카우프만 (2017). 창의성을 타고나다. 클레마지크. Vallerand, R. J., Blanchard, C.,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Léonard, M., ... & Marsolais, J. (2003). Les ... ...
- [과학 게시판]한약자원연구센터 문열어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7
- 오는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센트럴파크 홀에서 ‘미래 한국을 열어갈 12가지 과학기술’을 주제로 ‘미래과학기술 오픈 포럼’을 개최한다. 오전 세션에서는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의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 위상 강화’ 주제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2018.10.31
- 교수가 산 증인”이라는 식으로 말한다면 전혀 과학적인 태도가 아닐 것이다. 마찬가지로 종합영양제가 차선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업체 돈을 먹고 영혼을 판 사이비 과학자’로 매도하는 것 역시 문제 아닐까. 에임스 교수의 논문 두 편을 읽으며 이런 편협한 시각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2018.10.27
- 모르지만 그래도 좋은 사람일 것이라는 낙관주의를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사람을 얼마나 빨리, 일관적으로 판단하느냐와 그 판단이 ‘정확’한 것인가는 별개라는 점이다. 0.1초만 봐도 첫인상을 형성하고 더 긴 시간 동안 봐도 첫인상은 별로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2018.10.23
- 들여올 수 없을 때를 대비해 석탄에서 석유를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 결과 몇 가지 방법을 개발했는데, 특히 1925년 카이저빌헬름연구소의 화학자 프란츠 피셔와 한스 트롭이 개발한 ‘피셔-트롭 공정’이 뛰어났다. 1925년 독일의 화학자 프란츠 피셔(왼쪽)과 한스 트롭(오른쪽)은 석탄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2018.10.16
-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식물로 꽈리를 키우지만(보자기 같은 꽃받침이 달려 있는 꽈리 가지는 그림의 단골 소재다), 중남미의 몇몇 지역에서는 꽈리 열매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물론 같은 꽈리속(屬)일 뿐 별개의 종이다. 즉 관상용 꽈리는 학명이 Physalis alkekengi이고 식용꽈리는 학명이 Physalis pruinosa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2018.10.02
- 것이다. 다이아몬드는 책에서 야생동물 대부분이 가축화에 실패한 원인 가운데 6가지를 들고 있다. 즉 까다로운 식성, 느린 성장 속도, 감금상태에서 번식 실패, 골치아픈 성격, 겁먹는 버릇, 과도한 독립성 등이다. 이는 애완동물로서의 가능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우 길들이기 프로젝트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2018.09.18
- 책은 구성이 좀 이상하다.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 두 가지 토픽을 묶었는데, 꼭 그래야 했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분량도 900쪽이 넘어 더 그렇다. 사실 다윈은 한 권으로 내고 싶었는데, 출판사에서 두 권으로 쪼개 냈다고 한다. 그런데 분량을 기준으로 나누다 ...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2018.09.11
- 발음을 할 수 있는 발성기관이 형성된 게 아닐까. 문득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를 따라가지 못해 자신의 생각을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보노보의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면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 즉 보노보의 FOXP2 유전자를 인간형으로 바꾸는 것이다. 크리스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2018.09.08
- 시험을 보지 않은 사람과 방금 시험을 본 사람, 일주일 전에 시험을 본 사람의 총 세 가지 그룹이 있었다. 세 그룹의 사람 모두에게 채용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나 시험을 보던 도중 급격히 피곤해져서 시험을 중도 포기한 사람에 대해 이 사람이 얼마나 성격이 좋은지, 얼마나 능력있는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