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2,6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들이 만든 호버크래프트 '희망 2000'
과학동아
l
200007
것은 학부모들도 인정한다.2학년 대표인 유재승 군의 어머니인 김기옥씨는 “재승이는 초
등학교
4학년 때부터 자동차항공기연구반에 들어가겠다고 했다. 공부하는데 시간을 많이 빼앗길 것 같아 탐탁치 않았는데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해서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06
고
등학교
에서 문과(文科)와 이과(理科)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채워진다. 필자 역시 고
등학교
시절 소위 적성검사에서 이과 쪽으로 약간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이유로 지금까지 과학과 나름대로 깊은 인연을 맺으면서 살아오고 있다.문과와 이과를 전공한 사람들이 만나면 과연 무슨 대화를 할까.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06
주어지고 초기 조건만 안다면, 이 세상의 어떠한 운동도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다. 고
등학교
물리시간에 ‘어느 방향과 어느 속도로 공을 떨어뜨렸을 때 몇초 후 공은 어디에 있을지’를 계산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그러다가 18세기 무렵, 백만장자를 꿈꾸던 도박사들의 후원을 받아 ‘주사위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06
일년 중 반 이상이 겨울인 북유럽의 핀란드가 정보통신 분야에서 선도국가로 우뚝 섰다.유럽에서도 두드러지지 않는 나라.숲과 호수가 78%를 차지하는 핀란드가 어떻게 해서 인터넷과 휴대폰 분야에서 앞서 갈 수 있게 됐을까.주방에 있는 40대 후반의 어머니가 집에 오고 있는 자녀에게 음성인식 시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06
'스트레스 해소에는 운동이 최고.'흔히 듣는 얘기지만 그 이유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 들물다.또 무리한 운동 탓에 오히려 스트레스가 늘어나는 역효과가 빈번히 발생한다.운동이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과학적 원리를 살펴보자.1997년 미국 조지아대학의 한 연구팀은 14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흥미 ... ...
인터넷에 공개된 영재교육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005
학생이 창의력 문제를 풀었는데 그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중학교 2학년학생이 고
등학교
1학년 수준의 수학 문제를 풀었다면 영재인지,사고력 문제를 아주 빨리 해결하는데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등의 문제를 영재교육 전문가와 수시로 이야기할 수 있다는 의미다.싱키드 프로그램을 개발한 김명환 ... ...
통합메시징서비스 UMS
과학동아
l
200005
팩스기계가 없어도 팩스문서를 받을 수 있다.이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USM이다.고
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한결이는 통신을 통해 알게된 대학생에게 블랙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자료를 요청했다. 그러자 그 형은 팩스로 자료를 보내주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한결이는 팩스기기가 없었다. ... ...
사이버에 중독 되셨습니까?
과학동아
l
200005
한국 중년 남성의 반 이상이 걸렸다는 일 중독,안 겪어 본 네티즌이 없다는 인터넷 중독.'중독증'이란 단어는 복잡한 현대사회의 한 단면을 지칭하는 중심 단어로 자리잡았다.과연 중독이란 어떤 현상일까.‘중독증’이란 단어는 매우 부정적인 의미를 함축한다. 마약중독이나 알코올중독에 관한 ... ...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l
200005
우리나라에는 1백10만 마리의 애완견과 1만5천 마리의 고양이가 사람과 함께 살고 있다.4인가족을 기준으로 한다면 4백만명 이상이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는 셈이다.하지만 애완동물의 질병과 이의 예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자칫 사람까지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애완동물의 질병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05
과학기술인들이 어린이들의 꿈 속 깊숙이 자리잡는다. 그런데 이 학생들이 중학교와 고
등학교
를 거치고 나면 장래희망은 과학자와 거리가 멀어진다. 심지어 대학 진학을 위해 어쩔 수 없이 과학을 공부하는 처지로 바뀐다. 과학이 점차 학생들로부터 어렵고 따분한 과목으로 외면당하고 있는 이유는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