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03
블로그에 글을 쓴 것은 지난해 10월.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
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03
예를 들어 대장에 살고 있는 대략
100
조 마리의 박테리아군집에는 인간유전자의
100
배가 넘는 유전자가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게놈연구소(IGR) 스티븐 길 박사팀과 스탠퍼드대 렐먼 교수팀 등 공동 연구자들은 첫 번째 메타유전체학 연구 결과를 2006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3
하늘로 올라간답니다. 그런 다음 약 15.24㎞의 공중에서 우주로 날아오르지요. 관광객들은
100
㎞ 높이까지 올라가 우주를 경험하게 돼요. 어때요? 멋지지 않나요? 드래곤 우주선비행 경험 2010년에 시험 발사 성공. 주요 임무 국제우주정거장에 화물 운반. 특징 오리온 우주선처럼 재사용 가능. 짐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02
혼돈에서 출발한다는 의미에서 특정 학문이나 주제에 속하지 않는 분야를 모았다.
100
은 혼돈에서 질서를 찾기 위한 이성의 노력을 담은 철학을, 200에서는 유한한 인간이 절대적인 신을 숭배한다는 뜻에서 종교를 담았다. 300에는 인간이 가족과 사회, 국가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사회학을, 400에는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02
프로토콜)을 개발해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이다. 차세대 인터넷이 완성되면 통신망에 약
100
억 대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고, 속도도 현재의 10배 수준인 1Gbps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학재단의 FIND(Future Internet Design) 프로젝트는 이보다 극단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현재의 인터넷이 의존하고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02
우연인 듯 필연인 듯 그 소중하고 대단한 가치를 알아본 것이다. 왕오천축국전은
100
년이 넘는 세월 동안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돼 공개되지 않다가 마침내 한국에 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둔황’ 특별전에 전시돼 있다. 앞뒤가 잘려 일부만이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수 있을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02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
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지노믹스(유전체학)를 연구하는 데 10의 노력이 필요하다면 프로테오믹스는
100
0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은 국제 협력 없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백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02
오른쪽이 리노바이러스(감기바이러스)로 매우 닮았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지름이
100
nm 정도이고 캡시드단백질을 지질막이 감싸고 있는 구조다. RNA게놈은 8개의 조각으로 나눠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결정화가 안 되기 때문에 구제역바이러스처럼 원자 차원의 구조는 알 수 없다. ...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
과학동아
l
201102
먼지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잘못 계산하곤 했다. 연구팀은
100
개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신성의 색은 빨리 어두워질수록 붉은색을 띠고 반대일수록 푸른색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폴리 박사는 “20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이 찾아내려던 방법”이라며 “1a형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02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
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