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말미잘처럼 쓱~ 집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때는 20.16N의 힘을 발휘해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장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물건의 크기, 모양 등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효율적으로 집을 수 있다”며 “산업 현장이나 심해 탐사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63/1.512847 ... ...
- [천리안 2B] 환경탑재체 총괄 이승훈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환경탑재체3만6000km 상공에서 ppm 수준 미세먼지 포착환경탑재체(GEMS)는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오 ... 구성된다. 국내 연구팀이 망원경 부분을 개발하고, 미국 연구팀이 분광기와 전자부를 개발해 함께 조립하는 방식으로 환경탑재체를 완성했다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없애기 위해서는 이와 결합해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정 책임연구원팀은 10년간의 연구 끝에 2018년 망간산화물 나노 촉매를 코팅한 필터를 이용해 실내에 있는 다양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100% 제거하는 기술을 완성했습니다. 실험 결과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얼굴 이미지 7억 개 학습… 표정 분석이 핵심‘영업 및 마케팅 분야 적합도 99%, 연구개발 분야 50%’.이틀 뒤 전달받은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히스톤단백질을 주제로 나름 석사 논문도 썼고, 기사 취재용 논문을 읽는 데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사람에게 마케팅이라니! 역량게임을 통한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kr * 용어정리발사패드 : 발사대의 맨 아랫부분. 발사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발사체에 추진제와 각종 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모빌리티 회사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 위치인식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집중했다. 그렇게 정신없이 연구에 매진하던 중 한 가지 기쁜 소식이 전해졌다. 모빌리티 기업으로 유명한 쏘카에서 폴라리언트를 인수하겠다는 제안이었다.쏘카의 인수 제안에 ...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내가 분류한 데이터로 인공지능을 가르치는 거죠. 왜소은하를 분류하는 인공지능 개발에 도움을 주는 거예요! ④ 과학동아천문대 쿠폰 증정!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에 참여한 수학동아 독자가 폴리매스 홈페이지 선물이 팡팡 게시판에 인증사진을 올리면 추첨을 통해 5명에게 과학동아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흰쥐’ 하면 실험 쥐가 딱 떠오르쥐? 그래서 연구소에 있는 우리 친구들을 가장 먼저 소개할게. 쥐가 왜 이곳에서 활약하게 된 건지 그 이유를 알려 주겠어! ...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답니다 ... ...
- [만화뉴스] 뼈가 부러졌다고? 반창고 붙이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함부로 높일 순 없었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아데노신에 붕소화합물을 결합시킨 반창고를 개발했지요. 붕소화합물과 아데노신 의 결합은 시간이 지나면 풀려요. 그래서 반창고를 뼈가 부러진 곳에 붙여두면 그 부위에만 아데노신이 활성화되지요. 시니 바르게스 교수는 “쥐에게 실험한 결과 반창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장치를 회전시켜 감쇠 필터를 씌워주는 등의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또 해양탑재체는 주변 지역에 쓰나미 등 해양 재난이 발생했을 때 재난 발생 지역만 선택적으로 관측할 수도 있고, 하루에 한 차례는 탑재체가 볼 수 있는 지구면 전체인 전구 관측도 수행한다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