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중국에서 외국 과학자를 초빙했을 때 일차적인 이유는 당연히 행정 업무 수행 보다는
국제
적인 수준의 연구 결과와 학생 교육이다. 따라서 행정으로 빼앗길 시간에 연구에 집중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연구 성과에 집중하는 게 현명하다. 또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덕분에 국내에서 생산한 LED의 신뢰성도 덩달아 높아졌다. 이 책임연구원은 올해부터
국제
도량형위원회(CIPM) 광도·복사도자문위원회(CCPR)의 워킹그룹 의장직을 맡고 있다. 그는 “산업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광도 표준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다”며 “이러한 트렌드를 잘 파악해 ... ...
[과학뉴스] 타이탄의 대기 아지랑이, 형성 실마리 풀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기물 대기가 생명체를 만들 가능성에 대해서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10월 8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50-018-0585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데이터를 이용해 범죄 수사에 쓰이는 DNA 확인 기술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국제
학술지 ‘셀’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보통 범죄 수사에서 DNA 정보는 ‘짧은 반복수변이(STR)’를 통해 구별한다. STR은 DNA 중 유전자가 아닌 부분에 존재하는 짧은 반복서열이다. 반면 조상 찾기 서비스는 염기 ... ...
열을 가하면 스스로 접히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저절로 동그랗게 접히더니 장미꽃으로 변했어요. 이 장미꽃은 미국 카네기멜런대학교와
국제
공동연구진이 3D 프린터로 만든 스스로 접히는 플라스틱 조각이에요. 3D 프린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을 만들어주는 기계로, 미래 사회의 모습을 바꿀 기술로 주목 받고 있어요. 하지만 아직은 해결해야 ... ...
[에디터 노트] 우주군(軍)과 존 레넌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우주 공간 평화적 이용 위원회(CUPUOS)’가 설립됐다. CUPUOS는 ‘우주 공간 조약’이라는
국제
조약을 결의해 살상무기 배치를 금지하고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하도록 규정했다.미국은 우주군 창설의 당위성으로 미국의 우주 지배력(strength)을 내세운다. 그 근간에는 미국이 우주 지배력을 가져야 ... ...
[과학뉴스] 여드름균만 노리는 백신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부작용이 없는 여드름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피부연구학 저널’ 7월 3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doi:10.1016/j.jid.2018.05.03 ... ...
[과학뉴스] 고속도로 주변 오염물질의 90%는 타이어 탓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그리고 도로 자재가 조금씩 마모되면서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
학술지 ‘에어로졸 및 대기질연구’ 8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독일의 고속도로 두 곳에서 1년간 오염물질 샘플을 채취했다. 한 곳은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였고, 다른 곳은 농촌 지역의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일례로 샤론 브라우닝 미국 워싱턴대 바이오통계학과 교수팀은
국제
학술지 ‘셀’ 3월 15일자에 현생 인류와 데니소바인의 교배 흔적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오세아니아와 동아시아 사람들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데니소바인 혈통의 흔적이 발견됐다는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기억이 성인의 뇌에도 남아 있다는, 이른바 ‘기억 흔적’의 증거를 실험적으로 밝혀내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23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16/j.cub.2018.05.059 유아기 기억이 지워진 것이 아니라 기억해내지 못하는 것일 뿐이라는 얘기다. 연구팀은 어린 쥐에게 하나의 기억을 심고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