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년 뒤, 어디서 살아야할까? 기후부동산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살고 있는 도시를 옮기고 싶으시다고요? 그럼 잘 찾아오셨습니다. 우리 기후 부동산이 100년 뒤, 또는 그보다 먼 미래에 어디서 살아야 할지 대신 알아봐 드릴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100년 뒤, 어디서 살아야할까? 기후부동산Intro SF 시나리오, 미래의 한반도는?Bridge. 기후마블 게임Part 1.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제일 좋은 방법은 고도가 높은 곳에서 사는 것”이라며 “하지만 한번 형성되면 수백 년 가는 도시를 옮길 수는 없는 노릇이니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먼 미래를 보고 방어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건물, 바람과 침수에도 끄떡없나요?8월 중부지방 집중호우로 서울 관악구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아뇨, 그래도 이과가 무한동력은 못 만듭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물체를 초전도체라고 부릅니다. 최근엔 상온 초전도체도 개발돼 화제를 얻었습니다. 2020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결과인데요, 15℃에서 초전도성을 보였죠. 앗 참, 이 연구에선 압력 조건도 중요합니다. 267GPa(기가파스칼·1GPa는 대기압의 약 1만 배)의 압력을 가해야 상온에서 ... ...
- 제2의 우주개척시대 '인공중력기술'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오랜 꿈이 있다. 광활한 밤하늘을 수놓은 별에 다다르는 것.수십년 전 인류는 달에 발자국을 남겼고, 이제 우주 거주라는 더 먼 세상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지구와 달, 화성을 자유롭게 오갈 날이 점점 다가오며 우주 거주에 필요한 인공중력 기술도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인공중력은 우주 ... ...
-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어려운 우주에서 자연적 으로 재생되는 콘크리트 등 여러 연구가 이뤄졌습니다.2022년 7월 일본의 건설회사인 카지마 코퍼레이션과 교토대는 ‘루나글래스’ ‘마스글래스’라 이름 붙인 특별한 연구 프로젝트를 공개했습니다. 달과 화성에 사람이 살 수 있는 거대한 시설물을 짓겠다는 계획이죠. ... ...
- 과학자들의 메타버스가 열린다, 비대면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에서 현실을 새롭게 만든다비대면 연구 플랫폼은 2027년까지 개발을 마무리하고 연구 기관과 기업 등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현재는 기초 연구를 하는 단계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현장에서 수집한다. 신 책임연구원은 “건축 관련 데이터는 ... ...
- [5년 후, 과학은] 마법으로 되살아나는 꿈의 소재 트위스트로닉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주요 용어 중 첫 번째는 ‘마법의 각도’입니다. 문헌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2016년까지 한자릿수였지만, 2017년 13건으로 늘었습니다. 2018년 54건에서 2020년 241건으로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서로 다른 원자의 배열을 가진 층이 여러겹 쌓인 구조를 ‘초격자’라고 부릅니다. 초격자 구조에서는 ...
- [기획] 일회용컵 보증금제,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다는 목소리가 커요. 이런 바람과는 반대로 일회용컵 사용량은 늘어나고 있죠. 2008년 3500여 곳이었던 카페와 제과점, 패스트푸드점 수는 2018년 3만여 곳이 됐어요. 여기서 사용되는 일회용컵 수도 2007년 4.2억 개에서 2018년 25억 개로 급증했지요. 반면에 각 매장이 컵을 돌려받은 회수율은 ...
- [현장취재] 올해로 10살!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사실도 특별하지만, 올해는 무엇보다 여러분과 드디어 만날 수 있어 기대가 남달라요!”10년째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을 맡고 계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 역시 대원들과 함께할 현장 탐사에 대한 기대가 컸어요. 2부에서는 지구의 날을 맞아 대원들이 사전에 올려준 ‘지구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AR(증강현실)의 놀라운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눈으로 보는 실제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해서 보여주는 기술이에요. 몇 년 전부터 유행한 ‘포켓몬GO’ 게임이 AR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포켓몬GO 게임을 켠 채 거리를 돌아다니면 스마트폰 화면 속에선 현실을 배경으로 포켓몬이 곳곳에서 출몰합니다. 즉, AR과 VR의 차이는 현실을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