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로봇답게 지시를 따라 3년에 걸쳐 그녀의 집으로 온 모양이었다.“그 이야기는 심심할 때를 대비해서 아껴두자꾸나.”『네, 민연애 마스터. 마스터 등록을 시작하시겠습니까?』“그러자.”민연애의 눈길이 문으로 향했다. 그러고 보니 분명 보내겠다고 했는데 오지 않은 로봇이 더 있었다.“누가 또 ... ...
- [단짠코딩] 함수과학동아 l2022년 08호
- Your Life! 지난 시간에는 코딩 중에러가 떴을 때 해결하는 방법까지 배웠죠.이제 여러분은 한 단계 나아갈 준비가 됐습니다. 오늘은 파이썬 문법 3대장 중 마지막 시간입니다.조건문, 반복문, 함수를 파이썬 문법 3대장이라고 합니다. 파이썬 코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거든요. 오늘은 그 마지막 순서, ... ...
- 더 강해져 돌아온 코로나... 백신 플랫폼 기술 있었다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항원을 몸 속으로 전달하는 기술(플랫폼)이 잘 준비돼 있다면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그에 맞는 항원만 결합시켜 백신 개발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백신 플랫폼으로는 생백신(약독화), 사백신(불활성화), 서브유닛 백신, RNA 백신 등이 있다.국내에서는 백신 플랫폼 기술에 대한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우려합니다. 인류가 환경을 파괴하면서 수많은 생물을 멸종의 위기로 몰아넣고 있기 때문이죠. 지층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잔뜩 쌓인 새로운 지질 시대를 남기지 않으려면,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지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겁니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수학을 재밌게 공부하자! 퀴즈 러닝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곱셈과 나눗셈 같은 연산 문제를 푸는 건 지루하지만 수학 공부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에요. 이번 시간에는 수학 공부를 즐겁게 하기 위해, 연산 문제를 맞 ...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문제를 알려주는 메시지도 각각의 플레이어에게만 전달되기 때문에 서로 문제가 헷갈릴 일도 없어요 ... ...
- [특집] 책의 신전, 도서관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수상했어요. 존홍 교수는 “키가 작은 어린이들은 뭐든지 올려다봐야 할 때가 많은데, 도서관에서만큼은 같은 눈높이에서 바라보거나 위에서 내려다보며 책과 친해지고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교류하도록 했다”고 말했어요. 용어설명수직★ 위에서 아래로 곧바르게 뻗은 방향 또는 상태를 ...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z11 역시 지금은 지구에서 320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을 거라고 추측해요. 처음 관측했을 때보다 훨씬 멀어진 것이지요. 그렇지만 아직 실망은 일러요! 202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제임스 웹 망원경이 본격적인 우주 관측을 준비하고 있으니까요.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보다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각의 크기’가 힌트! 비밀 메시지의 의미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단,케이크상자까지가기위한길은 여러개의꺾인직선으로만만들수있지요.직선이꺾일때 생기는 각도는 언제나 둔각-직각-예각 순서여야만 해요.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은? 수콤과 달콤이 만든 케이크는 삼각형 모양이에요. 삼각형의 세 각에 수콤과 달콤이 남긴 메시지가 흩어져 적혀있지요. 다음과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아버지입니다. 요즘은 아들과 노는 일에 가장 큰 열의를 보입니다. 얼마 전 방문했을 때는 일곱 살 난 아들 ‘단’이 뮤직비디오를 찍겠다고 감독을 자처했습니다. 단이 자작랩을 하고 저와 허준이 교수 부부 전원이 그 뒤에서 함께 춤을 추는 영상을 찍기도 했었지요.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 추측도 매우 다양한 결과를 한꺼번에 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그래프가 주어져 있을 때 선이 k개이면서 회로가 없는 부분 그래프의 개수를 센 수열이 로그-오목이라서 한 번 감소하기 시작하면 계속 감소한다는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 후에도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