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에너지의 이유있는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감소한다. 외부에서
물체
에 Q의 열량을 가할 때
물체
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 △U와
물체
가 외부에 한 일 W는 Q=△U+W를 만족한다. 이것은 에너지보존 법칙으로 열역학의 제 1법칙이다. 이 법칙은 에너지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총량은 항상 일정하게 보존됨을 의미한다.(다) 기체의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있다. 질량과 크기가 같은
물체
(이 경우는 종이 한 장씩)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때 해당
물체
는 특이한 물성을 보인다. ② tinyurl.com/9uscq7 : 2003년 2월 1일, 미국의 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는 대기권을 재돌입하던 도중 내열타일의 파손으로 폭발을 일으켜 승무원 7명이 전원 사망하는 대참사를 초래했다. ... ...
악기가 소리를 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떼거나 대금을 세게 부는 것이다. 지공을 여닫을 때 음높이가 변하는 이유는 뭘까.
물체
길이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고유진동수는 파장이 짧을수록 크다. 손가락으로 지공을 완전히 다 막으면 바람이 빠져나가지 못해 고유진동수가 작아진다. 지공을 열면 그만큼 악기 길이가 ... ...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비슷한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이를테면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이나 비행하는
물체
를 추적하는 유도 미사일의 궤적은 미적분을 이용해 계산한다.이광연 교수는 성균관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뒤 미국 와이오밍주립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 ...
[물리]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차이점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일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간단하다. 전기장의 세기와 상관없이 차폐하고자 하는
물체
를 도체판으로 씌우면 된다. 그러면 도체판의 자유전하는 내부에 전기장이 상쇄되도록 재배열된다. 전자장치를 금속상자로 씌우고 특별한 도선을 금속으로 둘러싸는 이유는 전기장으로부터 차폐시키기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명성이 높은 김 교수의 연구실을 택했다. 유한요소법은 자동차나 선박, 건물 같은 큰
물체
를 무수히 많은 작은 격자로 나눈 뒤 충돌 등 물리적인 변수가 생길 때 형태가 어떻게 변할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할 때 사용된다.현재 필자는 유한요소법을 활용한 소프트웨어인 ‘입샙’(IPSAP)을 개발하는데 ... ...
LED Lights Light the Future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용하는 새로운 하이테크 제품을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그가 가진 길쭉한
물체
는 바로 탁상용 전등이다. 그것은 최신의 디지털 LED 기술에 기반한 50여 개의 조명기구 중 하나였다. 그것은 경쟁상대인 할로겐 전등만큼 밝은 빛을 내면서도 전기는 매우 적게 들었다. 기존 전구와는 다르게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kg을 들어 올릴 힘으로 40kg을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노인이나 장애인이 걷거나 무거운
물체
를 드는 일을 돕는데 사용할 겁니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한 일본 장애인이 HAL을 입고 히말라야를 등정하기도 했습니다.”사람이 ‘움직여야겠다’고 생각하면 뇌는 근육에 필요한 동작을 하라는 명령을 ... ...
[물리] 운동은 상대적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모든
물체
는 전자기 복사열을 방출하고(단
물체
의 온도가 절대온도보다 낮을 때) 다른
물체
로부터 오는 복사열을 흡수한다. 지구의 평균온도는 300K이다. 이 온도에서 지구는 공간으로 복사열을 방출하고 같은 비율로 태양으로부터 복사열을 받는다. 옷이나 피부도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한다. 사막에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분해능은 제자리걸음이다. 분해능의 한계는 지구 대기가 결정한다. 아지랑이 넘어
물체
가 흔들려 보이듯, 공기의 움직임으로 천체의 영상이 흔들리는 시상효과 때문이다. 공기가 희박한 곳에서는 이런 효과가 작아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망원경을 보통 높은 산꼭대기에 설치하는 이유다.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