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전자레인지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시험하던 물리학자 퍼시 스펜서는 자기 주머니에 들어있던 초콜릿이 녹아있는 걸 발견했어요. 그는 마그네트론에서 만들어진 전자기파가 초콜릿을 녹였을 거로 추측하고, 몇 가지 식재료를 더 가지고 와서 실험했지요. 옥수수에 전자기파를 쬐어주자, 옥수수는 눈앞에서 팝콘으로 변했어요! ...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카펠(자유유럽방송 사진 기자) 영구동토가 녹아내리면서 매머드의 뼈나 상아 등이 속속 발견됐어요. 멸종 동물의 흔적은 비싼 값에 팔려 ‘하얀 금’이라고도 불렸지요. 이런 상아 사냥꾼들을 만나 그들의 사냥을 취재한 사람이 있어요. 바로 자유유럽방송 아모스 카펠 사진 기자죠. 전화 인터뷰로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런데 연구소로 돌아간 에블린은 윌이 새로운 몸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모습을 발견하고 깜짝 놀랍니다. 게다가 윌은 에블린이 바이러스로 자신을 파괴하려 한다는 사실까지 알아채죠. 테러 단체와 정부는 연구소를 공격합니다. 포격을 가해 윌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을 파괴합니다. 그 ... ...
- [과학뉴스] 파리 화석도 강남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크라모프 연구원은 약 1억 1000년 전 백악기시대에 산 것으로 추정되는 파리 화석을 발견했어요. 크라모프 연구원이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강남스타일에서 이름 따자고 제안했고, 이 화석엔 ‘Buccinatormyia gangnami (부치나토르미이야 강남아이)’란 이름이 붙었답니다 ... ...
- [한장의 과학] 껌으로 복원한 5700년 전 소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알아낸 전체 유전 정보가 당시 유럽 본토에서 사냥하던 사껌으로 복원한 롤란섬에서 발견한 자작나무 껌. 껌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그린 소녀의 상상도. 람들의 DNA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거든요. 교수팀은 또한 소녀가 치주 질환이나 폐렴을 겪었고, 청둥오리와 헤이즐넛을 먹었을 것으로 ...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 있다”며 “한식 상차림에서 본식과 구분되는 전채요리가 있었다는 새로운 사실도 발견했다”고 밝혔다. 박 단장은 이런 내용을 지난해 10월 1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원하는 ‘2019 한식의 인문학 심포지엄’에서 처음 공개했다. 꿀, 밤, 감으로 차려진 전식, 1시간 뒤 본식 나와흔히 서양의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액체층의 점도가 일반 물보다 최대 두 배 크다는 사실을 발견해 ‘피지컬 리뷰 X’ 2019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X.9. 041025연구팀은 액체층 속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얼음 조각이 섞여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연구하던 중 반도체의 주요 소재인 카드뮴(Cd) 화합물에서 이런 현상을 처음 발견했다. 그리고 그 이유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우선 기존의 반도체가 빛을 내는 원리부터 알아보자. LED 같은 발광소자에서 색을 결정하는 건 LED 내부 반도체 속 전자의 움직임이다. LED의 반도체는 외부에서 전류나 빛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측량해 전체 지형도를 작성했습니다. 그 결과 알려지지 않은 고분 10개가 새롭게 발견됐고,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을 돌로 둘러싼시설물인 ‘호석’과 무덤 주위를 파내 물이 고여있도록 만든 도랑인 ‘주구’를 확인했습니다. 주구는 무덤 주변의 물이 잘 빠지도록 만든 시설입니다. 또 ... ...
- [매스크래프트]#2. 태국의 수상가옥에서 한붓그리기가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그건 이미 한붓 그리기를 많이 접해봐서 그래요. 당시에는 획기적이자 매우 위대한 발견이었습니다. 오일러의 한붓그리기가 ‘그래프 이론’의 시초라고 여겨지거든요. 그래서 그래프 이론에서 한붓그리기를 ‘오일러 경로’라고 부릅니다. 그래프 이론은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이해하기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