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0.3초만에 시선 사로잡기 간판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km가 넘는 거리였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앞으로 가면
병원
이 있으니까 거기서 오른쪽으로 가면 신호를 만나 좌로 꺾은 곳입니다. 걸어서 3분 정도입니다”라는 설명을 들으면 쉽게 알 수 있다. 잡음이 많은 정보라면 필요한 것만 요약하면 된다. 따라서 좋은 간판의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식물에서도 발견됐다. 최근 과학자들은 간섭RNA 현상이 생명체의 발생 과정과 외부
병원
체에 대한 방어 기작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간섭RNA에 대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은 2001년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 투스클 그룹에 의해 최초로 제기됐다. 이 그룹은 간섭RNA 현상이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막을 수 있다. 또 생물 테러가 발생했을 때도 발원지가 어디인지, 무기로 사용된
병원
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미국 라파에트시의 에이즈 사건은 이러한 계통유전학 분석의 효과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계기가 된 셈이다.그러나 한편에서는 계통유전학 분석이 남용되는 것을 우려하는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아트로핀으로 채워진 초콜릿을 먹고 기절했다. 다행히 부인의 동공이 팽창된 것을
병원
간호사가 발견해 아트로핀 과다복용 및 중독임을 금방 알아차렸다. 그 후 빨리 조치를 취해 목숨은 건질 수 있었다고 한다.홈즈처럼 시체의 입냄새를 통해 독극물의 존재를 알아맞출 수 있을까. 몇몇 독약이나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
병원
체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이유로 ... ...
패스트푸드점 단골 X 신드롬 주의해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지속되던 이 증세가 사라지면서 숨쉬기가 점점 어려워졌으며, 결국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
으로 실려왔다. 비슬리 박사는 이 증상이 혈전 때문에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아내 혈전 용해제를 투여했다. 그 결과 환자는 다행히 생명을 건질 수 있었다.비슬리 박사는 “장시간 다리를 움직이지 않았던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끝난 ‘30대 아줌마’다. 벌써 새끼도 두번이나 낳았다. 영롱이를 보살피는 발안종합동물
병원
의 김성기 원장은 “돌리와 달리 영롱이는 4년 동안 병 한번 앓은 적이 없을 정도로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고 말했다. 목장을 찾았을 때 영롱이는 처음 보는 기자에게 다가와 혀를 내밀어 뺨을 만지려 할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크기가 조금 크다 발진티푸스, 쓰쓰가무시병 등을 옮긴다 리케차 외에도 미생물
병원
체에는 곰팡이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있다 곰팡이는 균사를 갖고 있는 생물인데,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에 포함된다 박테리아는 흔히 세균이라고 불리는 단세포 생물인데, 핵막이 없는 원핵생물에 포함된다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논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1976년 2월 5일자 ‘네이처’에는 영국 퀸엘리자베스
병원
신경외과의 맥마누스 박사의 한쪽 짜리 논문이 실렸는데, 논문 제목이 고약하게도 ‘고대 남성 조각상과 실제 남성에게서 보이는 음낭의 비대칭성’이었습니다. 과연 어느 쪽으로 기울었을까요.1960년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2001년 과학기술부가 설립한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권혁찬 원장(봄여성
병원
)은 복제 수정란에서 메틸기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점, 그리고 텔로미어를 만드는 효소가 정상인 경우에 비해 잘 발현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는 “이런 사실들은 복제된 수정란이 이미 어느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