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아
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완벽하게 수리돼 이 중 한대가 1990년 중국 로켓에 의해 다시 우주로 보내졌다. 버려진
위성
을 지구로 회수, 다시 우주로 보내겠다는 우주왕복선의 목표가 처음 달성됐던 것이다.하지만 MMU의 활약도 약 1년 후 챌린저호의 폭발사고로 멈추고 말았다. NASA는 폭발사고 이후 안전에 초점을 둔 보수적인 ... ...
제품·환경 접점 연구하는 소프트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교수는“디자인의 대상이 작은 옷핀에서부터 실내외 환경은 물론 우주를 비행하는 인공
위성
까지 무궁무진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점차 디자인이 세상을 바꾸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고, 디자인이 세상을 비추는 거울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러려면“이제는 잘 그리기보다 잘 생각하는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유전적으로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DNA 지문이라 부르는 것이다.제프리 박사는 DNA 극소
위성
1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을 때 두 사람이 꼭 같을 가능성을 보일 확률은 3×10-11(3억 분의 1 이하)이며, 2개를 사용했을 때는 5×10-19 이하의 확률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담배꽁초에 묻은 침이나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할 수 있다최초의 X선 관측
위성
으로 1970년 케냐에서 발사됐다 본 이름은 소형천문학
위성
1호(SAS-1)다 그러나 케냐의 독립기념일에 발사됐기 때문에 스와힐리말로 '자유'를 뜻하는 우후루라는 이름을 얻었다도룡뇽과에 속하는 동물 등은 검고 날카로우며 배 부위에는 선홍색 바탕에 불규칙한 반점이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겨울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화려한 별들이 장관을 이룬다. 1등성을 포함해 유달리 밝은 별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다른 계절에 ... 수 있다. 목성 표면에 있는 줄무늬와 거대한 대적반, 그리고 목성 주변을 돌고 있는 4개의
위성
이 그려내는 광경은 보는 이의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구를 공전하는 궤도가 지구 궤도와 이루는 기울기도 설명할 수 있다. 태양계 행성의
위성
대부분이 가지는 궤도는 지구 궤도와 1-2°정도를 이루는 반면, 달 궤도의 기울기는 5°나 되기 때문에 문제였다. 연구팀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대충돌로 흩어진 부스러기에서 탄생한 달이 나머지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광물자원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한 2002 AA29와 같은 준
위성
궤도에 인공
위성
을 갖다 놓는다면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는 소행성의 화학조성과 기원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밤하늘의 여왕 달 탄생 최신 스토리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폭발과 함께 강력한 전자기파 펄스를 발사해 지상의 우주무기조종센터, 미그기,
위성
들의 전자장비뿐만 아니라 반경 50km 지역의 전기까지도 끊어놓는다.이러한 전자기파 펄스 무기가 이라크 전쟁이 발발한다면 첫선을 보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미 정보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라크는 ... ...
로제타 계획 1년 이상 연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유럽우주기구(ESA)의 혜성 탐사선 로제타는 당초 1월 12일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었다. 그렇지만 뜻하지 않게 지난해 12월 11일 로 ... 목표 혜성에 접근할 수 있는 시기를 놓쳤기 때문이다. 로제타 계획은 전면 수정되고
위성
발사는 최소한 1년 이상 연기될 전망이다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3백65일 동안 발사가 가능한 편리성, 그리고 최근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나노급 인공
위성
에 가장 적합한 우주발사체라는 점에서 머지 않아 우주개발의 주역이 될 것이 분명하다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