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doi:10.1016/j.als.2016.05.009). 한 씨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2015년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다닐 때 국가대표로 국제물리토너먼트에 나간 게 커피 컵 연구의 계기가 됐다”며 “기대하지 않고 논문을 투고했는데, 실제로 출판돼 많이 기뻤다”고 말했다. 논문이 제시한 결론은 “뒤로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소방관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명상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경기소방학교에서는 2013년부터 소방관이 트라우마를 겪지 않고 정신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마음빼기 명상’을 도입했다. 명상으로 트라우마를 어느 정도 이겨낼 수 있는 이유는, 자기 마음을 반복적으로 돌아보면서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내 눈은 황금눈?사진에 정보를 숨기는 방법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 눈이 색의 차이를 어느 정도로 구분할 수 있는지부터 테스트해볼 거예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타일 뭉치에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16개 타일 중 2개만 나머지와 색이 다릅니다. 눈을 크게 뜨고 여섯 개의 타일 뭉치에서 색이 다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관심 있는 친구들은 다음 스토리펀딩 사이트를 찾아 꼭 한번 읽어 보세요~!※ 다리 밑 학교 친구들이 사용한 실험키트는 과학동아몰(www.scimall.co.kr)에서 후원해 주셨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람들을 무릎 꿇리고(卩) 명령을 내린다는 뜻의 ‘하여금 령(令)’이 합쳐진 한자예요. 학교에서 선생님이 무섭게 혼을 내시면 교실의 공기가 차갑게 얼어붙는 느낌이 들 때가 있죠? 이처럼 ‘찰 냉(冷)’은 ‘얼음(冫)이 얼 정도로 엄격한 윗사람의 명령(令)’이라는 뜻에서 유래됐답니다.‘방 방(房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특히 강릉의 산불은 시내 아파트 단지들 근처까지 번졌어요. 주민 300여 명은 근처 초등학교와 복지관으로 대피해야 했죠.7일 18:00 상주, 강릉 진화진화를 위해 헬기 59대와 인력 9300여 명이 투입됐어요. 헬기로 공중에서 물을 뿌려 큰 불을 잡고, 소방대원과 군 장병들을 비롯한 수 많은 사람들이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합을 준비 중이다. 한양대, KAIST 등과도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구상하고 있다. 고등학교 뇌과학 동아리와의 연합도 추진하고 있다. 일종의 멘티-멘토 활동이다. ‘뉴런 인 스쿨(NIS·New learn In School)’이라는 이름으로 방학을 이용해 뇌 해부 실험을 하는 등 뇌과학 연구활동을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포장한 대중서일 뿐이라는 인식은 윌슨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서 엿볼 수 있다. 고등학교 생물교사이기도 한 조진호 작가는 ‘판타스틱 과학 책장’이라는 저서에서 “‘이기적 유전자’의 주된 내용은 도킨스가 창조했다기 보다는 당시 신(新)다윈주의 학자들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사 온 초등학교 5학년 구하리와 하리의 남동생 구두리는 독특한 꼬마 ‘신비’와 마주친다. 남매는 신비가 먹던 엿을 빼앗아 먹었는데, 그 뒤부터 귀신이 보였다. 알고 보니, 신비는 아파트의 수호신과도 같은 도깨비였다! 하리는 귀신을 그다지 무서워하지 않고, 귀신과 눈을 마주치면 귀신의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게 최종 목표”라고 말했어요. 폭탄을 찾는 용감한 시금치?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이 시금치를 이용해 땅 속에 묻힌 폭발물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는 방법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개발했어요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