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확장
증가
증진
증설
연장
강화
d라이브러리
"
확대
"(으)로 총 2,047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3μ대의 장파장으로 발전해 왔고 최근에는 1.2~1.7μ대의 광섬유가 저손실영역으로
확대
되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초장거리전송 등 특수용도로 적외선(5~10μ)까지 광통신영역을 늘이려는 연구도 진행중이다. 이러한 경향은 대부분 빛의 손실을 줄이고 장거리통신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 ... ...
그래픽지원 「화랑워드프로세서 」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했다.이와 함께 도표작성시 다양한 종류의 선을 이용할 수 있고 문자크기에 상관없이
확대
축소가 가능해 도표를 많이 쓰는 보고서나 간단한 책자의 편집에 편리하다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예방이라는 소극적차원이 아니더라도 기상이 인간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확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우리가 서해안 간척사업을 아무리 열심히 진행한다 해도 기후모델 자체가 크게 변화돼 해수면이 급격히 높아진다면 모든 것은 공념불에 그치고 만다.올여름의 기후가 예년과 ... ...
첨단과학기술의 주춧돌이 되기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온도연구는 새로운 측정원리를 이용한 온도계의 개발 및 소형화에 의한 응용범위의
확대
와 아울러 계속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3 시간태양시에서 원자 시로시간의 표준은 인류역사 이후 오랫동안 지구의 운동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되어 왔다. 초기에는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회전하는 현상을 ... ...
약사 약사와 약장수의 갈림길에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자신이 결정해 버린 질병을 확인받고자 했다. 대개 이러한 경우 자신의 질병을
확대
해석하기 일쑤이다.더 힘든 경우는 자신이 약값 약종류까지 결정하고 올 때이다. 부작용이 많은 약이거나 환자에게 중독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아무리 그 약에 대해 설명하여도 이러한 약이 주는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오히려 과학기술계의 발전을 위해 과학원뿐만 아니라 여타 대학에도 병역특례제도를
확대
보완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과학계의 전반적인 의견이다. 최근 국방부는 석사장교제도를 없앨 계획이라는 발표를 한바 있고, '형편의 논리'를 펴 과학원의 병역 특례도 조정해나갈 예정이라는 소리도 새어 ... ...
확산되는 PC통신① 컴퓨터가 맺어준 친구 「엠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PC보급이
확대
됨에 따라 PC로 상대방과 대화를 주고받는 PC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는 PC통신에 관한 내용을 이번호와 다음호 2회에 걸쳐 연재한다. 이번호에는 PC동호인 모임인 「엠팔」에 대한 얘기를, 다음호에는 실제 PC통신의 개념과 사용법에 대해 실을 예정이다.지난 5월 ... ...
여름방학 컴퓨터특강 가이드 어디서 어떻게 배울수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풍성한 하계 컴퓨터강좌를 마련하고 있다.특히 이번 하계 컴퓨터강좌에는 교육용PC 보급
확대
로 인한 PC인구 증가에 따라, 과거 전문 프로그래머 양성을 위한 중대형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교육 위주에서 16비트 PC사용자를 위한 강좌가 대폭 늘어난 점이 특징이다.각대학의 하계 컴퓨터강좌먼저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일류공과대학에 이 역할을 맡길 계획이에요. 또 박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국내외 연수를
확대
해 가야지요. 대학의 자연계 학생 비율도 더 높아져야 합니다. 작년 인문계 대 자연계의 학생수 비율은 49대 51로 비슷했는데 문교부의 협조를 받아 91년에는 45대 55로 조정하고자 해요."―해외과학자는 ... ...
광학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더욱 느려지지만 속력의 변화는 작다. 그래서 물속에서는 굴절이 적어지고 렌즈의
확대
효과도 줄어든다.7. (2) 오목렌즈는 태양광선을 수렴시키지 못하므로 종이에 불을 붙일 수 없다. 볼록렌즈는 광선을 한 곳에 수렴시키게 한다. 렌즈가 두꺼울수록 수렴작용이 더 크고 태양의 상은 더 작게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