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후"(으)로 총 1,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2)어린이과학동아 l20060727
- 귀신이기 때문에 새로 집을 짓고 나면 무당을 불러서 굿을 했다. 이것을 성주받이라고 하고 이 때 부르는 노래를 성주풀이라 한다. 이후에도 매년 성주꾸러미를 바치는데 마른 명태를 대들보에 매달아놓는 풍습도 성주를 위한 것이다. 손 없는 날 손이 활동하는 날에 이사를 하면 힘들다고 하여 일부러 손이 잠잠한 날을 골라 이사를 했다. 요즘도 이사 날짜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9
- 가시광선 빛을 이용하는 현미경은 0.0005 밀리미터보다 작은 사물을 볼 수 없음을 밝혔다. 이것은 가시광선의 파장이 길기 때문인데, 이후 광학현미경의 한계를 뛰어 넘는 전자현미경의 탄생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BIMG_l11}1931년 크놀과 루스카 투과전자현미경 발명 크놀과 루스카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를 이용하면 광학 현미경보다 ...
- 어과동과 함께 월드컵 역사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이탈리아 선수들 뿐아니라 모든 축구 팬들이 이탈리아가 이길 것으로 예상한 이 경기는 예상 외로 북한의 1 : 0 승리로 끝났다. 이후 북한은 승승장구 8강 진출이라는 기적을 이뤘고 이탈리아는 예선 탈락의 쓴잔을 마셨다. 귀국한 이탈리아 팀에게 돌아온 것은 국민들의 썩은 토마토 세례였다고. 이변 3.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카메룬 1 : 0 ...
- 태양과 계절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지요. 그렇지만 정확히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은 춘분과 추분 때뿐입니다. 춘분 이후 여름이 가까워지면 해가 뜨는 곳은 점차 북쪽으로 치우칩니다. 그리고 추분이 지나고 겨울이 가까워지면 해가 뜨는 곳은 점차 남쪽으로 치우치지요. 그렇게 되면 태양이 가장 높을 때의 고도는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차이가 나게 ...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조선시대에 세종의 명에 따라 과학기술자들이 7년여에 걸친 긴 연구 끝에 1437년 4월 앙부일구와 같은 정밀한 해시계를 완성했어요. 이후 신법지평일구나 휴대용 해시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해시계가 만들어졌답니다. 달력과 시계가 하나로! 앙부일구 1437년에 완성된‘앙부일구는앙부가입을 벌린솥을 뜻하고,일구가해그림자를 뜻하므로,해 ...
- 신기전어린이과학동아 l20060214
- 19세기 이후에나 등장했던 걸 보면 당시의 기술이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뛰어난 로켓 기술은 이후로 꽃을 피우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실망만 하고 있을 필요는 없어요.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도 우리의 독자적인 로켓(KSLV-1)을 우주로 띄워 보낼 준비를 하고 있으니까요. 바로 2007년에 ...
- 세계의 로봇 물고기들어린이과학동아 l20060214
- 로봇물고기의개발은최근에이루어졌어요. 1995년미국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서개발한‘찰 리’가 세계 최초의 로봇물고기지요. 이후 미국은 로봇참치Ⅱ, 로보파이크, 드레이퍼참치 등 다양한 로봇물고기를 만들어 냈어요. 일본의 경우 장난감 로봇물고기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요. 로봇물고기 외에도 로봇바닷가재, 로봇거북, 로봇해파리 등도 연 ...
- 1828년 2월 8일, 줄 베른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060127
- 바다와 모험을 좋아했던 줄 베른은 프랑스의 낭트라는 항구 근처의 섬에서 태어났습니다. 과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34세 때 파리에서 기구 실험도 했답니다. 그는 '80일간의 세계일주' '15소년 표류기' '해저 2만리'등 40년 동안 50여편의 소설을 써서 근대 공상과학소설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답니다. 그의 소설에는 잠수함, 기구, 로켓 들이 등장하는데, 이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올 겨울 처음으로 한강이 얼었습니다. 이러한 한강의 결빙은 작년보다 23일 빠르고 평균 한강 결빙일보다 26일 빠른 것입니다. 1965년 이후 한강에 가장 빨리 얼음이 언 것이지요. 한강이 이렇게 빨리 언 이유는 12월 17일 아침 최저 기온이 -13.3℃, 18일 아침에는 -14.0℃에 이르는 등 강추위 때문입니다. 서울은 강추위만 몰아닥쳤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3)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큰 눈이 내려 많은 피해가 있었습니다. 3월4일에서 6일까지 부산에는 37.2㎝, 포항 20.7㎝, 영덕 67.5㎝, 울진57.6㎝의 눈이 내려 기상 관측 이후 가장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강원도 지역에는 동해 110.8㎝, 속초 55㎝, 강릉 53.5㎝의 눈이 내렸지요. 이런 폭설로 강원도 지역 215개 학교와 경상도 지역 62개 학교가 휴교 ...
이전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