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속 액체방울로 게놈 조절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조절하는데, IDP라는 단백질도 이런 조절자 가운데 하나다. 신 교수팀은 IDP 단백질을
분리
해 마치 주머니처럼 액체 방울로 감싸고, 이를 자유자재로 게놈의 가운데 원하는 곳에 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에는 ‘캐스드롭(CasDrop)’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텔로미어와 액체상 ... ...
신재생에너지 저장매체로 주목받는 바나듐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부피가 수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자동차에 적용할 순 없다. 반면 완전히
분리
된 탱크에 양 극의 전해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재 염려가 없다. 또 전해액만 제때 갈아주면 되기 때문에 용량이 감소할 염려가 없다. 업계에서는 소모품까지 감안한 바나듐 배터리의 수명을 평균 20년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지구를 떠난 지 약 9개월 만이다. 스타맨을 태운 로드스터는 지구 고타원궤도에서 로켓과
분리
된 뒤 관성에 의한 초속 11㎞의 우주 유영으로 지구궤도와 화성궤도에 걸쳐 태양 주위를 돌도록 설계됐다. 이론적인 예측에 따르면 스타맨은 2020년 10월 6일경 화성과 약 748만 ㎞ 거리로 가까워진다 ... ...
신성철 KAIST총장 직무정지 '유보' 결정…풀어야할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밝힌 입장과 상충된다. 본보가 단독 입수한 LBNL의 서한. - 동아사이언스 이렇게
분리
된 협약서 가운데 하나만 한국연구재단에 제출한 점도 향후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한국연구재단의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에 지원해 선정돼 매년 수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았다. 이때 조건을 ... ...
과기정통부 "美연구소 반박 불구,신성철 총장 배임·횡령 혐의 변함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관련한 부분(공동연구과제협약서)와 예산 관련부분(용역연구협약서)를 LBNL측에 별도로
분리
해서 작성해달라고 하고 LBNL측이 동조한 내용이 관련자 e메일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며 “이는 허위이고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DGIST의 허위 보고에 LBNL측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줬거나 가담했다는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③美 달 정거장 찍고 화성간다
과학동아
l
2018.12.13
데 그쳤다면 오늘날의 달탐사는 달 거주에 도전하고 있다”며 “인간이 진정으로 지구와
분리
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기반시설을 달, 화성 환경에 맞게 구축해나가는 연구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 팰로앨토=이영혜 기자 yhlee ... ...
파이로프로세싱 실증 계획 중단…“2020년 재검토”(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 핵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에 포함된 고독성·장반감기 핵종을
분리
해 독성을 낮추고, 이를 차세대 원전인 SFR의 연료로 재처리하는 기술이다. 사용후핵연료의 부피를 20분의 1로 줄이고 방사능도 10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정부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 파이로프로세싱·SFR ... ...
6800억원 쏟은 파이로프로세싱 2020년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 핵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에 포함된 고독성·장반감기 핵종을
분리
해 독성을 낮추고, 이를 차세대 원전인 SFR의 연료로 재처리하는 기술이다. 사용후핵연료의 부피를 20분의 1로 줄이고 방사능도 10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정부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 파이로프로세싱·SFR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창정(롱 마치) 3B’에 실려 우주로 올라갔다. 창어 4호는 발사 30분 뒤 발사체와
분리
돼 달로 향하는 정상궤도에 안착했다. 중국은 앞서 달 탐사선 ‘창어 3호’를 발사할 때처럼 이번 발사 장면을 생중계하지는 않았다. ● 지구와 단절된 달 뒤편…통신중계위성으로 지상과 교신해 착륙 시도 ... ...
외국 발사체 빌려탔던 ‘우리별 1호’… 3년내 독자기술로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997년과 1998년 각각 한 번씩 발사된 KSR-2는 길이 11m의 고체추진 2단 로켓으로 비행 중 2단을
분리
하는 실험까지 성공했다. 자신감을 얻은 한국은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원할 때 엔진을 끌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액체추진로켓에 도전하게 됐다. 2002년 발사된 KSR-3가 바로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한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