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과학동아 l201403
- 거다. 양자역학적으로 빛은 입자(광자)다. 빛에 맞으면 충격을 받는다. 고양이 같은 큰 물체는 아무렇지 않지만, 전자라면 사정이 다르다. 전자같이 작은 입자는 빛에 맞으면 휘청거린다. 이 충격은전자의 운동량을 바꾼다.결국 측정하는 행위가 위치나 속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위치와 운동량을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03
- 종종 있다”고 지적했다. 자료 조사와 심의 과정에서 오류 잡아야취재를 하면서 든 가장 큰 의문점은 인터넷 검색만 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이 교과서에 실린 경위다. 사실 교과서 집필진은 철저한 자료 조사를 통해서 오류가 없는 내용을 교과서에 담아야 한다. 그런데 A 수학교과서의 인용 자료를 ... ...
- [화보] 건축, 수학으로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403
- 건물이 탄생했다. 쌍곡포물면은 직교하는 2개의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곡면이다. 가장 큰 특색은 직선만으로 이뤄지는 곡면이라는 점으로, 상승하고 하강하는 소리의 밀도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 준다. 이에 건물의 리듬감과 아름다움이 더욱 극대화 됐다. 알고리즘을 품은 건축건축물의 외관 말고,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03
- 그대로 다른 기둥으로 옮겨야 하는 문제다. 이때 한 번에 하나의 원판만 옮길 수 있고, 큰 원판이 작은 원판 위에 있어서는 안 된다. 하노이 탑 퍼즐을 풀기 위해서는 원판을 옮기는 규칙을 정하고 이를 수차례 반복해야 하는데, 원판의 개수가 n개일 때 퍼즐을 풀기 위해서는 최소한 2ⁿ-1번 원판을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03
- 작은 수각류 공룡 한 마리를 발견했다. 브라키오사우루스처럼 목이 매우 길고 몸집이 큰 초식공룡인 용각류는 네메겟층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례적이었다. 베이스캠프 근처에서 오비랍토르류의 골반부터 뒷다리까지 연결된 뼈를 발견했다. 가까운 곳에서 이 공룡의 알 둥지도 4개 ... ...
- 쓰나미 쓰레기섬, 미국 덮칠까?과학동아 l201403
- 쓰레기의 속도가 편서풍 하강기류 속도의 5%만큼 가속됐다는 이야기다. 바람 영향이 큰 물체일수록 당연히 빨리 이동한다. 고무, 비닐, 스티로폼처럼 바람 영향이 4~5%에 이르는 가벼운 쓰레기는 2012년에 이미 하와이를 거쳐 미국 본토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물 위에 뜨기 쉬운 선박이 가장 먼저 ... ...
- 15분 덜덜… 1시간 운동 효과?과학동아 l201403
- 어린이나 마른 사람에게 많다. 적게 먹고 많이 운동할수록 살이 빠지는 효과가 큰 이유는 몸에서 이리신이 분비되면서 백색지방이 갈색지방으로 전환되고, FGF21이 분비되면서 지방세포를 연소시키기 때문이다.리 박사팀은 건강한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두가지 실험을 했다. 먼저 18°C에서 1시간 동안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03
- 사실은 오피 교수와 같았지만, 남은 두 특성 가운데에서는 오히려 암컷의 분포가 더 큰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암컷의 먹이 경쟁이 심하고 개체수 밀도가 적은 경우 1부1처가 나타났다는 게 이유였다. 연구팀은 인류의 조상 역시 비슷한 이유로 1부다처에서 1부1처가 됐으리라 봤다.두 ... ...
- 외계인도 잘 생겨야 하는 더러운 세상...과학동아 l201403
- 진화했다면 칼 세이건의 상상처럼 열기구처럼 생겼을 수도 있겠지요. 중력이 매우 큰 행성이라면 납작하게 생겼을 수도 있고요. 굳이 사람과 주파수가 같은 음파로 의사소통을 할 이유도 없고, 똑같이 가시광선 영역을 볼 이유도 없고, 산소로 호흡할 이유도 없습니다. 이러나저러나 외계인이 지구에 ...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403
- 알 수 없으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지난 20년간 초끈이론과 양자중력의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이 바로 블랙홀과 양자역학이 공존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렇다면 정확히 어떻게 공존하느냐 하는 물음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가 해결됐다는 그간의 성급한 여론이 어쩌면 양자적 시공간에 대한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